"흑인 청년 구타 사망사건, 경찰개혁 기폭제 되길" 조 바이든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경찰의 집단 구타로 흑인 청년 타이어 니컬스(29)가 숨진 사건과 관련해 "이 어두운 기억이 우리가 계속해온 투쟁에 기폭제가 되어주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집무실에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하원 흑인 의원단 모임인 '블랙코커스'(CBC) 대표들을 면담한 자리에서 경찰 개혁 방안을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민주당이 하원 다수당이던 2021년 경찰개혁 법안, 이른바 '조지 플로이드법'이 통과됐다"며 상원에서 조속히 입법을 완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0년 백인 경찰에 목이 짓눌려 사망한 조지 플로이드의 이름이 붙은 이 법안은 이 법안은 경찰이 용의자를 체포할 때 목을 조를 수 없게 하고, 면책 특권을 제한해 용의자의 헌법적 권리를 침해한 경찰을 고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골자다. 법안은 하원에서 2020년, 2021년 두 차례나 가결됐다. 하지만 당시 상원 다수당이었던 공화당이 경찰의 면책 특권 제한 조항 등을 이유로 반대하면서 아직 계류 중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방정부 차원에서도 행정명령을 통해 중요한 변화를 만들 수 있다"며 관련 정책 논의를 이어갈 것을 촉구했다. 이에 블랙코커스 회장인 스티븐 호스포드 의원은 "타이어 니컬스는 왜 우리가 행동에 나서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또다른 사례"라며 "대통령이 이미 행정명령을 통해 취할 수 있는 조치를 이끌어줬다"며 감사의 뜻을 표했다. 호스포드 의원은 "우리는 생명을 구하고 공공안전을 모든 지역사회의 우선순위로 놓기 위한 입법 조치를 위해 대통령의 도움이 필
국내 시민사회단체들이 1일 군부 쿠데타 2년을 맞은 미얀마의 민주화를 촉구했다. 106개 단체로 구성된 미얀마지지시민모임은 이날 오전 서울 성동구 주한 미얀마대사관 무관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쿠데타 이후 미얀마 민중은 포기하지 않고 저항했지만 군부는 폭력 진압과 학살로 대응했다"며 "군부 독재가 종식되고 민주주의가 오는 그날까지 함께 저항하겠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미얀마 군부와 협력을 중단하지 않은 일부 한국 기업 역시 미얀마 민중의 민주주의와 삶을 파괴한다는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미얀마 군부에 저항한다는 뜻으로 '세 손가락 경례'를 하고 "미얀마 군부는 즉각 퇴진하라", "미얀마 봄의 혁명을 함께 이뤄내자" 등 구호를 외쳤다. 인권단체 정치범지원협회(AAPP)에 따르면 2021년 2월1일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1만7천572명이 체포돼 이 가운데 1만3천763명이 구금 중이다. 군부 폭력으로 숨진 사람은 2천940명에 달한다. /연합뉴스
스포츠 인권헌장·가이드라인 12년만에 개정 국가인권위원회는 사회적 소수자의 스포츠권(스포츠에 참여하고 향유할 권리)과 같이 변화하는 환경을 반영해 2010년 만든 스포츠 인권 헌장과 가이드라인을 12년 만에 개정했다고 1일 밝혔다. 빙상·유도 등 종목에서 여전히 심각한 인권침해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지난해 12월 개정된 헌장에는 건강증진과 시민 자질 고양, 평화 실현 등 스포츠의 긍정적 가치가 새로 담겼다. 헌장은 성별과 성적 지향·장애·나이·재산·운동능력에 따른 차별 없이 모든 사람이 스포츠권을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개정 가이드라인은 폭력과 괴롭힘을 예방하기 위해 체육단체 등이 인권옹호 담당자와 부서를 정하고 인권침해 예방 전략과 정책을 주기적으로 수립해 적절한 대응체계·매뉴얼을 마련하라고 했다. 체육지도자의 인권옹호 책임도 강조했다. 인권위는 "체육지도자는 스포츠 기량·기술 향상을 돕는 지도자일뿐 아니라 모든 참가자를 인권침해와 차별로부터 보호하는 인권옹호자라는 책임감을 인식하고 실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권위는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시·도 교육감, 대한체육회장, 대한장애인체육회장, 스포츠윤리센터이사장에게 개정 헌장과 가이드라인을 채택·이행하라고 권고했다. 선수와 체육지도자, 선수 관리 담당자 등 체육 관련 종사자에게도 교육하라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