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채점으로 표준점수·백분위 예측 어렵고 선택과목 유불리 현상
"최상위권 변별력 낮아져 경쟁 치열해질 것…지원 신중해야"

문·이과 구분 없이 치러진 통합수능이 2년차를 맞으면서 학생들의 입시전략도 한층 복잡해졌다.

가채점한 원점수를 바탕으로 자신의 표준점수와 백분위를 예측하기 어려워진데다 선택과목 간 유불리 현상으로 이과→문과 '교차지원'이 급증하는 등 입시 판도에 새로운 변수가 생겼기 때문이다.

[수능] 문·이과 통합에 선택과목까지…입시전략 '고차방정식'
17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나면서 수험생들은 대학 입시전략을 확정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신속하게, 보수적으로 가채점을 하고 수시모집과 정시모집 어느 쪽을 중점적으로 공략할지 빨리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남윤곤 메가스터디 입시전략연구소장은 "가채점은 시험 당일 저녁에 신속하게 끝내야 한다"며 "헷갈리는 문제가 있다면 틀린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낫다.

그래야 입시 전략 수립에서 오차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남은 수시모집 대학별고사(면접·논술)에 응시할지 결정하려면 우선 가채점 결과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는지 살펴보고, 자신의 점수가 수시 지원 대학보다 상위 대학 정시 지원이 가능한지 판단하면 된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수능 성적에 따라 수시 응시가 효율적일 수도, 반대로 '수시납치'(고득점을 받은 학생이 수시에 합격해 정시에 지원하지 못하는 현상) 상황에 놓일 수도 있다"고 전했다.

다만, 통합수능으로 바뀌면서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인 국어와 수학영역 가채점을 통해 전략을 세우는 것이 상당히 어려워진 점은 수험생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

같은 선택과목을 치르는 다른 수험생들의 공통과목 점수 분포에 따라 본인의 영역별 표준점수가 바뀌기 때문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입상담교사단인 김창묵 서울 경신고 교사는 "통합형으로 전환된 지난해부터는 가채점 결과 적중률이 높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지원 여부를 결정할 때) 다양한 자료를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올해가 2년차인 만큼 통합수능 첫해였던 지난해보다 사정이 조금은 낫기 때문에 지난해 입시자료를 잘 분석해볼 필요도 있다.

[수능] 문·이과 통합에 선택과목까지…입시전략 '고차방정식'
과목별 유불리 현상에 따라 국어 '화법과 작문', 수학에서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학생들의 정시모집 지원 셈법은 좀 더 복잡해질 수 있다.

올해도 국어에서는 '언어와 매체', 수학에서는 '미적분'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다른 과목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치러진 2022학년도 입시에서는 자연계열에서 요구하는 '미적분'을 선택했던 학생들이 높은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대거 인문계열에 지원하는 '문과 침공' 현상이 발생했다.

최상위권 학생들 역시 다소 신중한 고민이 필요하다.

올해는 국어영역과 수학영역 모두 초고난도 문항(이른바 '킬러 문항')이 적어 최상위권의 변별력이 지난해보다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창묵 경신고 교사는 "정시모집의 경우 지난해와 비교해 최상위권의 총점 분포는 다소 조밀해지면서 '뭉침 현상'이 생길 수 있다"며 "정시 점수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으므로 더 신중하고 꼼꼼한 지원계획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졸업생 응시자가 많은 점도 고려할 요소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응시자 가운데 졸업생이 늘어남에 따라 의·약학계열과 상위권 주요대 자연계열 학과의 경쟁은 치열해질 전망"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