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의 아이돌봄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분권형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창원시정연구원은 '창원특례시 아이돌봄서비스 향상 방안'을 주제로 최근 발행한 '창원정책 브리프'에 이러한 내용을 담았다고 31일 밝혔다.
아이돌봄서비스는 부모가 신청하면 정부가 공적으로 관리되는 아이돌보미를 각 가정으로 파견해 아이돌봄을 수행하도록 하는 서비스다.
연구원은 "현행 아이돌봄서비스는 중앙정부 제도규칙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지만, 아이돌봄서비스는 지역 공동체의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해야 하는 대표적 사회서비스"라며 "현실적 수요와 그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분권형 아이돌봄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본인부담금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은 "밀양시는 2020년부터 시비를 투입해 본인부담금에 대한 지원을 확대했는데, 그 결과 타 도시에 비해 현저한 이용률 증가가 나타났다"며 "창원시가 (본인부담금의) 10%를 추가 지원할 경우 가구당 주 3.1시간, 20% 추가 지원 시에는 가구당 주 6.4시간 서비스를 더 이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이 지난 3월 창원지역 부모 700명을 상대로 시행한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실태 조사 중 개선사항에 관한 질문에도 '정부지원금 증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26.3%를 차지한 바 있다.
연구원은 "본인부담금 지원에 더해 한부모·장애부모·청소년부모 등 아이돌봄 취약집단의 돌봄공백을 메우기 위한 별도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창원 아이돌보미 교육기관에서 인증된 영아돌봄 전문교육을 이수한 사람에 대해서는 3세 이하 영아를 대상으로 한 돌봄서비스 신청이 들어올 때 우선 연계하는 방안도 서비스 향상 방안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현행 광역지원기관의 기능 일부를 창원의 조건에 맞게 수행하면서 분권적 아이돌봄서비스 운영의 토대가 될 '창원시 아이돌봄 지원기구' 설립 필요성도 제안했다.
거제블루시티투어 운영 재개·섬 투어 조례 제정각종 전시, 상업시설 들어설 장목관광단지엔 1조 이상 투입 '조선 산업 도시' 이미지가 강한 경남 거제시가 올해 다양한 관광 사업을 추진하면서 관광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시동을 걸었다. 거제시는 지난해 1월부터 중단된 거제블루시티투어 운영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거제블루시티투어는 포로수용소 유적공원과 매미성, 외도 등 관내 주요 관광지들을 코스로 돌아보는 것이다. 지역 대표 체험관광 상품으로 운영돼오다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1월 1일부터 운영이 중단됐다. 거제시는 최근 코로나19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다시 운행하기로 뜻을 모았다. 지난 26일에는 관내 9개 여행업체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투어 운영 재개 방안을 모색했다. 거제시는 이번 투어 운행 재개를 비롯해 지역 관광 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한 각종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6일에는 '거제시 섬 투어 활성화 지원 조례'를 제정해 시행에 들어갔다. 70개가 넘는 섬을 보유한 만큼 이를 활용한 관광을 활성화해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자는 취지다. 전국에서 섬 투어 활성화를 위한 조례를 제정한 것은 거제시가 유일하다. 거제시는 관내에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등이 있어 조선업 도시라는 이미지가 강한 편이다. 지난해 12월 말 자체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민 1천548명을 대상으로 '거제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질문한 결과 1천155명(74.6%)이 '조선 산업 도시'라고 답했다. 2위를 차지한 '해양관광 레저도시' 응답자는 294명(19%)에 그쳤다. 박종우 시장은 이 같은 고정관념이 관광 산업 육성에 한계로 작용한다고 보고 이미지
대구와 경북에서 모두 2천529명(대구 1천182명·경북 1천347명)이 코로나19 신규 확진 판정을 받았다. 28일 대구시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전날보다 1천182명(국내감염 1천179명·국외감염 3명)이 늘어난 131만4천138명이다. 사망자는 4명이 증가해 모두 1천937명이다. 전담 치료 병상은 227개 중 44개를 사용하고 있어 가동률이 19.4%다. 경북에서는 1천347명(국내감염 1천346명·국외감염 1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사망자는 1명이 늘어 누계는 2천27명이다. 경북에서는 최근 일주일간 국내 확진자 7천790명(국외감염 제외)이 나와 주간 일일평균 확진자 수는 1천112.9명이다. /연합뉴스
연휴 지나며 반등 후 다시 줄어…위중증 410명·사망 29명 설 연휴 뒤 반등세를 보이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28일 감소세로 전환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2만3천612명 늘어 누적 3천13만730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1주일 전인 지난 21일(2만7천644명)보다 4천32명 적다. 설 연휴가 끝난 뒤 진단 검사 건수가 늘어나면서 전날까지 이틀간 신규 확진자 수가 1주일 전 대비 증가했지만, 사흘 만에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전날(3만1천711명)보다는 8천99명 적고, 2주일 전인 지난 14일(3만6천687명)과 비교하면 1만3천75명 줄어 감소세가 뚜렷했다. 지난 22일부터 이날까지 1주일간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1만6천617명→9천217명→1만2천250명→1만9천527명→3만5천86명→3만1천711명→2만3천612명으로, 일평균 2만1천146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48명으로 전날보다 1명 적다. 이 가운데 33명(68.8%)이 중국발 입국자다. 지역별 확진자 수(해외유입 포함)는 경기 5천842명, 서울 4천65명, 부산 1천639명, 경남 1천633명, 경북 1천347명, 대구 1천182명, 인천 1천151명, 충남 990명, 전남 892명, 전북 863명, 광주 761명, 충북 712명, 울산 693명, 강원 634명, 대전 614명, 제주 401명, 세종 186명, 검역 7명이다. 이날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직전일(481명)보다 71명 적은 410명이었다.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25.0%다. 전날 사망자는 29명으로 직전일보다 7명 적었다. 누적 사망자는 3만3천361명, 누적 치명률은 0.11%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