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정부의 국민연금재정계산위원회와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데 대해 시민사회가 "당사자 의견을 완전히 무시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정용건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이하 국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은 18일 오후 참여연대가 주최한 연금개혁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국회 특위에 민간자문위원회를 둘 수 있다고 했으나 그 구성과 권한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고 있다"며 "연금개혁은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한 데 이런 논의를 진행할 정부여당의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연금 개혁은 정부가 책임감을 가지고 주도하지 않으면 가능성이 작은데, 정부의 의지를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며 "결국 여야 합의로 국민연금제도가 개악되거나, 합의가 되지 않고 표류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에 포함된 '상생의 연금개혁' 추진 목표에 따라 제5차 국민연금 재정계산에 근거를 둔 국민연금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국회는 지난달 여야 합의로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특위 규칙에 따르면 특위는 산하에 민간자문위원회를 둘 수 있다.
또 법률안 심사권을 가지되 안건은 여야 합의로 처리해야 한다.
국민행동 등 시민사회는 국회 특위가 국민연금 수급당사자인 시민과 노동자 등을 위원구성에서 배제했고, 민간자문위를 둔다는 조항도 구성과 목적, 기능 등이 명시되지 않았다고 반발하고 있다.
정 위원장과 함께 공동위원장을 맡은 이찬진 변호사도 "과거 2007년 소득대체율을 60%에서 40%로 낮추고 보험료 인상을 회피하는 안이 여야의 정치적 야합에 의해 통과됐던 기억이 떠오른다"며 "논의구조를 보니 당시의 데자뷔 같다"고 했다.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2018년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연금특위에서 국민연금 개혁에 대한 깊은 논의가 있었고 합의안은 아니지만 노동계가 보험료 인상에 동의하는 등 의미 있는 안이 도출된 바 있다"며 이번 논의가 이전 방안을 토대로 사회적대타협 형태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교수는 연금 개혁 논의가 재정안전성 위주로 이뤄지고 있는데 대해서는 "국민연금의 노후보장 기능이 강화되지 않는 경우 국민연금제도 지속가능성이 크게 하락할 수밖에 없다"며 "소득대체율 인상과 크레딧 강화 등 보장성 강화 방안이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달에 국민연금을 200만원 넘게 받는 사람이 1년 사이 4배 늘어 5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2일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공표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노령연금을 월 200만원 이상 받는 수급자는 5410명이다. 2021년 12월(1355명) 대비 약 4배 늘었다.200만원대 국민연금 수령자는 1988년 국민연금 제도 도입 후 30년 만인 2018년 1월 처음 나왔다. 이후 2018년 말 10명, 2019년 98명, 2020년 437명으로 급속도로 늘고 있다.20년 이상 장기가입자 증가 및 수령액이 물가상승률과 동반 상승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말 기준 월 249만1260원이던 최고 수령액도 5.1% 상승률을 반영하면 260만원이 넘는다.성별로 보면 지난해 말 기준 200만원 이상 수급자의 98.5%인 5332명이 남성이다. 여성은 78명에 그쳤다. 200만원대 수급자 중에선 수급연령 도달 전 연금을 신청해 받는 조기 수령자도 15명 있었다. 이 경우 수령액은 줄어든다.노령연금 월 수령액이 100만원을 넘는 사람도 2021년 말 42만7463명에서 지난해 말 57만106명으로 33% 증가했다. 노령연금 수급자는 총 531만2359명이다. 월평균 수급액은 58만6112원이다. 20~40만원을 받는 사람이 208만명으로 가장 많다.가입자가 장애를 입었을 때 받는 장애연금과 수급권자 사망으로 유족에게 지급되는 유족연금 수급자는 각각 6만8451명, 93만3637명이다. 이들과 일시금 수급자를 합친 지난해 말 국민연금 전체 수급자는 633만2568명이다.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경기도는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 '2023년 여성친화도시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에서 파주시 등 5개 시군의 6개 사업을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올해 처음 시행하는 이 사업은 양성평등 환경 조성을 지원하고 여성친화도시 지정·운영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된다. 이번 공모에는 6개 시에서 9개 사업을 신청했다. 도는 심사·심의를 거쳐 ▲ 파주시 성매매 집결지 폐쇄. 반 성매매 문화 조성 ▲ 파주시 일상에서 만나는 성평등 업(UP) 프로그램 ▲ 수원시 주민과 함께 만드는 마을안전이야기 ▲ 용인시 젠더 폭력 피해 및 예방 지원. 리 위드 유(RE: WITH YOU) ▲ 광명시 어서와 호신술은 처음이지? ▲ 광주시 행복 보듬길 조성사업 등이다. 선정된 사업에는 1천만~2천만원씩 총 1억원이 지원된다. 심사 점수에서 1위를 차지한 파주시의 '성매매 집결지 폐쇄'는 파주시 파주읍 일원 성매매 집결지 폐쇄 지지 기반을 구축해 여성 친화적 도시재생으로 환경을 바꾸고, 지역사회의 젠더 폭력 인식·문화를 개선하는 내용이다. 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여성친화도시 지정이 확대되고 종전 지정 시군도 안정적으로 정착할 것으로 기대한다. 여성친화도시 지정 사업은 양성평등기본법에 명시된 사항으로, 도내에는 수원과 용인, 화성, 안양, 의정부 등 14개 시군이 지정돼 있다. /연합뉴스
비정부기구(NGO) 단체 아시아교류협회와 전북대 산학협력단은 라오스 비엔티안에 위치한 장애인학교에 언어치료실과 청력검사실을 건립했다고 31일 밝혔다.아시아교류협회와 전북대 산학협력단에 따르면 이날 이 시설을 라오스 장애인학교에 이양하는 행사를 했다. 이양식에는 라오스 외교부, 비엔티안 시교육청, 구청 관계자 등 현지 정부부처 관계자와 아시아교류협회, 전북대 산학협력단, 우송대 청각장애 전문교수 등 50여명이 참여했다.아시아교류협회와 전북대 산학협력단은 라오스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중심재활(CBR) 활성화를 돕기 위한 사업을 하고 있다. 치료사를 양성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2024년까지 17억원 규모로 진행된다.비엔티안 장애인학교 교장은 “그간 학생들의 장애 정도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어려웠으며 재활치료 인프라도 부족했다”며 “이번 CBR 설립을 통해 장애 학생들에게 통합적인 지원이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