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2일까지 ACCLIP 사업…대류권·성층권 대기 자료 연구·분석
"코로나19 전후 대기질 구체적으로 비교 가능"
아시아 대기 관측하러 한국 온 NASA 항공기는 '거대한 실험실'
"몬순(여름철 계절풍)을 떠올리면 보통 비가 내린다고 생각하지요.

우리는 거꾸로 지표에서 대기 상층으로 무엇이 올라가느냐에 관심을 두고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됐습니다.

"
5일 오후 경기 오산 미 공군기지. NASA(미국 항공우주국), NCAR(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 로고가 박힌 항공기 두 대가 한국 취재진을 맞이했다.

NASA와 NCAR, 한국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들은 이날 취재진을 오산 미 공군기지로 초대해 지난달 29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진행되는 '아시아 여름철 계절풍 대기화학·기후변화 영향 연구사업(ACCLIP)'을 소개했다.

미국 고고도 항공기가 한반도를 포함한 아시아 대류권·성층권에서 측정한 각종 대기 자료를 연구·분석하는 사업이다.

NCAR 소속 로라 판 박사는 간담회에서 "대류권에서는 대기 물질이 항상 수직적으로 서로 섞인다"며 "지표상의 대기 물질이 성층권까지 올라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대기 물질이 성층권에서 전 세계로 퍼져나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류권은 구름과 비 등의 일기 현상이 일어나는 대기권의 최하층으로, 약 10㎞ 고도까지 해당한다.

대류권 위에 있는 성층권의 고도는 약 10∼50㎞다.

아시아 대기 관측하러 한국 온 NASA 항공기는 '거대한 실험실'
아시아 대기 관측하러 한국 온 NASA 항공기는 '거대한 실험실'
NASA 항공기 WB-57은 원래 1940년대 폭격기로 개발됐지만, 1960년대 개량 작업을 거쳐 날개 길이를 2배로 늘리면서 고고도(7∼12㎞) 비행이 가능해졌다.

평소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의 존슨우주센터에 있다가 이번 사업을 위해 한국으로 날아왔다.

폭격기라는 당초 목적에 걸맞게 조종사를 포함해 두 명만 탑승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WB-57이 하늘에서 보내오는 자료를 지상에서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NCAR 항공기 G-5(V)는 원래 여객기로 만들어졌지만 2000년대 초반 개량 작업을 거쳐 현재와 같은 용도로 쓰이게 됐다.

여객기 출신답게 실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지만, 장비가 워낙 많아 조종사와 과학자 등 10명 미만만 탑승할 수 있다.

항공기 자체가 거대한 실험실인 셈이다.

성층권까지 올라가는 WB-57과 달리 G-5는 대류권을 날아다니며 대기 물질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두 항공기가 수집·측정하는 기체는 60개가 넘는다.

이 기체들은 상호 작용하면서 섞이기도 한다.

ACCLIP에 참여한 구자호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는 "지표 위주로 대기 환경을 생각해서는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대기를 이해할 수 없다"며 "이번 사업이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구 교수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 대기가 깨끗해졌다는 사실이 이미 잘 관측되고 있다"며 "이번 사업으로 코로나19 전후 대기질을 더 구체적으로 비교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 대기 관측하러 한국 온 NASA 항공기는 '거대한 실험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