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를 기업들이 정말 활용할까요?
AI면접에 대비해야 하나요?
채용에서 기업들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평가 요소는 뭔가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청년 구직자들이 궁금해하는 최근 채용 트렌드 등 이슈에 대해 기업 채용 담당자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설문조사는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500대 기업 252개 기업과 중견기업 500개 등 총 752개 기업 채용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합격하려면 '직무관련성' 어필해야

MBTI, 채용 면접서 정말 볼까?…인사담당자 752명의 대답은
기업들이 채용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인은 '직무관련성'으로 나타났다. 신입과 경력직 여부를 불문하고 가장 중요하게 보는 평가요소였다.

신입 채용 시 입사지원서 단계에서는 직무관련 근무경험(34.4%)을 가장 중요하게 봤으며, 신입 직원의 전공이 직무와 관련이 있는지도 중요한 평가요소(33.9%)였다. 그밖에 최종 학력(16.1%), 직무관련 인턴경험(5.2%) 등도 중요하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연관성이 있어서 별도 교육 절차 없이 즉시 투입이 가능한 인재를 선호하는 기업의 특성이 잘 나타났다는 평가다.

경력직의 경우 면접 단계에서는 61.3%의 기업이 직무관련 전문성을 가장 중점적으로 봤다. 그 뒤를 업무 이해도(14.9%), 인성 및 예의(13.3%) 등이 따랐다.

반면 직무와 무관한 단순 스펙은 눈여겨보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이 가장 중요하지 않다고 평가한 요소는 △직무무관 봉사활동(16.4%), △직무무관 기자단 서포터즈 활동(16.2%), △최종학교명(7.8%), △직무무관 공모전(6.6%), △직무무관 어학연수(6.1%) 순이다.

○날 떨어뜨렸던 회사, 다시 지원해도 될까

꼭 가고 싶은 기업이 있는데 탈락한 경우 재지원해도 될까. 500개 중견기업 중 320개(64%) 기업은 이전에 필기나 면접에서 탈락한 구직자가 재지원하는 경우엔 이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악하고 있는 기업 중 60.6%(194개)는 “탈락 이력이 채용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답했다. 그밖에 부정적 영향이 있다는 응답은 25.9%였다. 긍정적 영향이 있다는 응답인 13.4%에 비해 두배다.

4개 중 1개의 기업은 부정적으로 본다는 의미다. 그래도 다시 지원하고 싶다면 소신 있는 재지원 사유(54.7%)를 제시하거나, 탈락 이후 개선을 위한 노력(48.8%)을 어떻게 했는지, 해당 직무와의 적합성(40.0%) 등을 다시 한번 적극 어필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는 조언이 덧붙여졌다.

졸업을 유예하거나 졸업 후 장기간 취업을 못하는 등 취업 공백기가 있는 경우는 어떨까. 전체 752개 기업 중 406곳(44.8%)가 공백기의 활동 내용에 따라 다르다고 답했고, 44.3%는 영향이 없다고 답했다. 뚜렷한 목적이 있는 공백기가 아니라면 취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거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는 조사 내용이다.

○AI 면접, 아직 시기상조

MBTI, 채용 면접서 정말 볼까?…인사담당자 752명의 대답은
최근 기업들이 앞다퉈 도입한다는 인공지능(AI)면접 활용도는 아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752개 기업 중 6.9%인 52개사만이 AI 면접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40개는 매출 500대 기업인 것으로 나타나, 중견기업의 AI 활용도는 전체 500개 중 12개(2.4%)에 불과했다.

면접 결과를 채용에 반영하는 기업도 31개에 그쳐 미미한 수준이었다. 참고를 하지만 결과와 무관하다는 응답이 21개사(2.8%), 계량화해서 점수에 반영하는 기업이 25개(3.3%), 당락을 좌우 할정도로 중요하게 여기는 기업이 6개(0.8%)에 불과했다. 심지어 AI 면접을 실시하는 기업 52개사의 대다수(50개사, 96.2%)가 AI 면접을 보완하기 위해 대면면접을 추가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AI면접에 대해 채용과정의 공정성 측면에서는 긍정 평가가 높았지만, 평가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 비율이 낮았다. 252개 대기업 채용 담당자 중 AI면접의 공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의 비율은 46.8%였다. 중견기업도 500개 중 39.4%를 기록했다. 하지만 평가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 비율이 대기업 13.1%, 중견기업 8.8%에 그쳤다. 이런 부정확성 때문인지 83.2%의 기업이 추후 활용계획이 없다고 답변했다.

조사를 수행한 이요행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AI 면접 확산 여건이 조성된 상황에서 AI 활용 여력이 상대적으로 큰 대·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했음에도 전체 활용 비율이 6.9%에 그쳤다"며 "AI 면접이 단기간에 보편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현재 AI 면접을 실시하고 있는 기업의 94.2%는 "앞으로도 활용 계획이 있다"고 답변했다. 반면 현재 미실시기업의 82.8%는 “활용 계획이 없다”라고 답변했다. 현재 AI 면접의 활용 여부가 향후 활용 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고용정보원 측의 설명이다.

○MBTI, 진짜 면접에 활용하나

MBTI, 채용 면접서 정말 볼까?…인사담당자 752명의 대답은
MBTI(성격 유형 검사)가 대 유행이다. 이 덕분에 최근 일부 기업들이 채용과정에서 구직자의 MBTI 유형을 요구하다는 보도가 등장해 화제가 됐다. 또 특정 직무에서 특정 MBTI 유형을 선호하거나 배제한다는 구인광고가 등장해 시선을 끌었다. 이 때문에 취업준비 중인 청년들은 기업이 선호하거나 특정 직무에 부합하는 MBTI 유형에 맞춰야 하는지 부담감까지 토로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조사 결과 실제로 MBTI를 활용하는 기업은 많지 않았다. 전체 응답기업 752개 중 3.1%에 해당하는 23개 기업만이 채용 과정서 MBTI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마저도 MBTI 유형이 채용에 보통 이상의 영향을 미친다는 기업은 전체 응답기업의 2.3%인 17개에 그쳤다. 다만 이번 조사 대상인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이 아는 중소기업 이하 규모의 기업에서는 활용률이 조금 더 높을 수 있다는 게 고용정보원 측의 설명이다.

한국MBTI연구소 김재형 연구부장은 “MBTI가 채용과정에서 평가도구로 활용되면, 구직자들은 기업에 맞춰진 반응을 연기하는 등 진정성 없는 모습을 보일 수밖에 없다"며 "주요 기업뿐만 아니라 소규모 기업과 아르바이트 채용 시에도 원천적으로 MBTI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