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후 11시 15분께 경기도 군포시 영동고속도로 둔대분기점 인천방향 22.8㎞ 지점에서 소나타 5.6t과 27t 대형 화물차와 쏘나타 승용차 등 차량 3대가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맨 뒤에 있던 27t 화물차 운전자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다. 경찰은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연합뉴스
이른바 '추-윤 갈등' 국면에서 윤석열 대통령(당시 검찰총장)의 징계를 주도했던 한동수(56·사법연수원 24기)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최근 사의를 표한 것으로 5일 알려졌다. 판사 출신인 한 부장은 2019년 10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 직후 외부 공모로 대검 감찰부장에 임명됐다. 2020년 11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윤석열 당시 총장을 직무에서 배제하고 징계를 청구하자 대검에서 관련 절차를 주도했고, 그해 12월에는 윤 전 총장 징계위원회에 직접 증인으로 출석했다. 그보다 앞선 2020년 4월 '채널A 사건' 때는 채널A 기자와 한동훈 현 법무부 장관(당시 검사장) 사이의 유착 의혹을 조사하겠다고 나서 검찰총장이던 윤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이 밖에도 한명숙 전 국무총리 모해위증교사 의혹이나 '판사 사찰' 문건 수사 중단 의혹 등을 둘러싸고 벌어진 갈등 등 윤 대통령과의 '악연'은 끊이지 않았다. 검찰 안팎의 사건에 계속해서 관여해온 만큼 윤 대통령 등과 관련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의 주요 참고인 역할을 했고, '이성윤 고검장 공소장 유출 의혹'을 조사하면서 주요 자료를 법무부 보고에 누락했다는 혐의로 스스로가 검찰 수사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한 부장은 임명 당시부터 '친여' 성향으로 분류됐고 윤 대통령과 부딪친 고비 때마다 추미애 전 장관 등 여권 인사들과 보조를 같이했으나, 스스로는 "(언론이 자신을) 친여·친정부 성향의 이상한 사람으로 매도했다"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지난해 법무부의 연임 결정으로 한 부장의 임기는 내년 10월까지로 연장됐으나 정권이 바뀌면서 검찰 안에서는 그가 직무를 계속 수행하기 쉽지
한-영 개인정보보호 적정성 결정 채택 합의…연내 발효 우리나라가 영국과 동등한 수준의 개인정보보호 역량을 인정받았다. 이에 따라 영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이 현지 거주민들의 개인정보를 국내로 이전할 때 별도의 승인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윤종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과 줄리아 로페스(Julia Lopez) 영국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부장관은 5일 오후 3시(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공동으로 한국과 영국 간 개인정보보호 적정성 결정 채택 합의를 발표했다. 적정성 결정은 다른 나라 개인정보보호 수준을 평가해 자국의 개인정보 이전이 가능한 국가(화이트 리스트)로 승인하는 제도다. 유럽연합(EU), 영국, 일본, 브라질 등이 운영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부처 협의와 의회 심의 등 내부 의사결정 절차를 거쳐 올해 안에 한국에 대한 적정성 결정을 채택할 예정이다. 적정성 결정이 최종적으로 채택되면 영국에 진출한 한국 정보기술(IT) 기업 등이 건당 3천만원 넘는 비용이 드는 표준계약 등을 체결하지 않아도 현지 거주민들의 금융정보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국내로 이전할 수 있게 된다. 영국은 2021년 8월 한국, 미국, 호주, 싱가포르, 콜롬비아, 두바이국제금융센터 등 6개국(기관)을 적정성 결정 우선 추진 대상국으로 공식 발표했다. 양국 담당 부처인 개인정보위와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부는 총 18회(월 2회)의 실무회의를 거쳐 이번 적정성 결정 채택을 위한 양국 간 협의를 마무리했다. 지난해 12월 17일에는 EU가 한국과 개인정보보호 적정성 결정을 채택했다. 이번 영국과의 결정이 추가되면 국내 기업들은 EU에서 탈퇴한 영국을 아우르는 유럽 전역에서 자유로운 데이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