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1시 6분께 강원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소금산 출렁다리 인근에서 10∼20대 추정되는 여성 1명이 수십m 아래로 추락했다. '사람이 떨어졌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 당국이 여성을 구조해 병원으로 옮겼으나 숨졌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숨진 여성의 연령대를 40∼50대로 추정했으나, 옷차림 등으로 미뤄 10∼20대로 보인다고 밝혔다. 경찰은 숨진 여성의 신원과 추락 원인 등을 확인하고 있다. 『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합뉴스
저출산 고령사회 정책 방향…정년연장·노인연령 상향 논의 착수영아 입원비 본인부담 '제로'…미혼자도 자녀 있으면 주거 혜택 '검토'신혼부부에 43만호 공급…年소득 8천500만원까지 주택구입자금 대출 특례 정부가 세계 최저 수준의 저출산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해 일·육아 병행을 돕고 현금성 지원을 확대해 양육비 부담을 줄이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아이돌봄서비스 참여 가구를 크게 늘리고 아이를 키우는 가구에 대한 세제 지원도 확대한다. 2자녀 이상만 돼도 양육과 주거 지원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영아 병원비 부담을 낮추고 난임 지원은 넓힌다. 고령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고령자 계속고용과 노인연령 조정 논의를 본격화하는 한편, 고령자 복지주택 공급을 늘리고 신노년층에 맞는 일자리를 확충한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저출산위)는 28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올해 1차 회의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의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회의는 7년 만에 위원장인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회의로, 민간 전문가와 정부 위원인 관계 부처 장관들이 참석했다. ◇ 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활성화…'2자녀 이상' 지원 대폭 확대 저출산위는 우선 저출산 대책으로 가정 내에서 양육하는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가구를 작년 7만8천가구에서 3배 수준으로 늘릴 계획을 밝혔다. 아이돌보미 수당을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영아종일제 돌봄 수당을 추가로 지원한다. 민간 도우미 양성 체계를 국가제도로 도입하고 서비스 기관 등록제를 실시해 민간 돌봄 서비스도 활성화한다. 국공립 어린이집을 연 500곳 규모로 확충하고 인센티브·
민사고 한만위 교장 "전학 배정 동의서 절차 잘못돼 다시 고쳐" 인정"1년 끌던 문제 해결하고자 직인 찍어…단순 실수로 확대 해석 말라" 국가수사본부장에 임명됐다가 낙마한 정순신 변호사의 아들 학교폭력(학폭)과 관련, 민사고 측이 '거주지 이전으로 인한 전학'으로 기재해 서울 반포고에 보낸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다. 28일 연합뉴스 취재 결과 민족사관고등학교 한만위 교장은 "학교폭력으로 인한 강제 전학이 아닌 거주지 이전에 따른 일반 전학이라고 기재한 전학 배정 원서를 2019년 2월 8일 서울시교육청에 제출한 것은 절차상 잘못"이라고 인정했다. 그는 "전학 배정 동의서를 그렇게 처리하면 안 됐던 것인데 (민사고) 학교 입장에서는 1년을 끌던 문제를 빨리 해결하고 싶은 생각에 동의서에 (민사고) 직인을 찍어 준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 교장은 "직인을 찍어주고 보니 이 절차가 잘못된 것이라고 판단돼 다시 절차를 밟아 바로 고친 것"이라며 "학교의 단순 실수인 만큼 확대 해석은 피해달라"고 밝혔다. 이는 정 변호사의 아들이 민사고에서 반포고로 옮기는 과정에서 학폭으로 인한 강제 전학이 아닌 '거주지 이전' 전학으로 처리했다는 의혹을 사실상 인정한 셈이다. 정씨 측은 2019년 2월 8일 전출 사유로 '거주지 이전'을 선택한 일반고등학교 전·입학 배정원서를 서울시교육청에 제출했다. 원서에는 민사고 교장의 직인이 찍혀있었다. 서울시교육청은 같은 날 전학요건이 충족됐다며 결원이 있고 가장 가까우며 1지망으로 적어낸 반포고에 정씨를 배정했다. 그러나 닷새 뒤인 2월13일 반포고는 전·입학 절차 변경이 필요하다며 서울시교육청에 배정을 취소해달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