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은 70% 손상돼도 증상 없어…간질환 있으면 6개월 단위 검사를"
간은 ‘침묵의 장기’로 불린다. 간은 70% 이상이 손상돼도 뚜렷한 증상이 없고 묵묵히 제 할 일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완전히 망가져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할 정도가 되면 갑자기 병세가 나빠진다. 김범수 경희대병원 간담도췌장외과 교수는 “간암에 취약한 만성 B·C형 간염, 지방간 환자라면 6개월에 한 번 혈청 알파태아단백 등 간암 조기진단 검사를 받아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경희대병원 후마니타스암병원에서 간 이식 등 간·담도·췌장 외과 수술을 도맡고 있다. 이 분야에 몸담은 지 16년째다. 김 교수에게 간암은 왜 발병하는지, 간 이식의 조건은 무엇인지, 이식 후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물었다.

▷간암의 원인은 뭔가.

“간암의 80%는 만성 B·C형 간염으로 인해 생긴다. 간염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간에 흉터를 남기는데, 이 과정이 반복되면 간이 딱딱해진다. 그러면 암의 전 단계인 이행성 결절(종괴)이 생기게 되고, 간암으로 악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해외에서는 C형 간염으로 인한 간암 발병이 많은 편인데, 한국은 B형 간염이 더 많다. B형 간염 백신이 도입된 시기가 1980년대 초중반으로 외국에 비해 늦었기 때문이다.”

▷비만도 간암에 영향을 미친다는데.

“그렇다. 나머지 20%는 음주, 비만 등 생활습관으로 인해 생긴다. 특히 음주 문화가 보편화돼 있는 한국에서는 과음으로 인한 젊은 간암 환자도 많이 증가하는 편이다. 이런 환자들은 독성 간염이 병행되면서 증상이 단기간에 확 나빠진다. 소변량이 급격히 줄고 신장 손상으로 인한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아진다.”

▷간 절제술만으로 간암을 치료할 수 있나.

“그렇진 않다. 간 절제술은 종양이나 병변이 있는 곳을 일부 잘라내는 수술이다. 간 기능이 지나치게 많이 떨어졌거나 간경변증이 심하다면 간 이식을 고려해볼 만하다.”

▷간 이식 수술이 가능하려면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하나.

“간 이식은 손상된 간을 들어내고 새 간을 이식하는 것이기 때문에 말기 간 질환 환자에게 필요한 수술이다. 하지만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암세포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개수가 많을 땐 수술이 어렵다. 보통 간암 개수가 3개 이내이고, 암 크기가 3~5㎝ 미만일 때 간 이식 수술을 받을 수 있다. 만약 암이 혈관까지 침범했다면 간 이식은 ‘금기사항’이다.”

▷혈관 침범 시 간 이식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간 이식을 할 때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데, 혈관 침범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재발 가능성이 더 커진다. 간 이식 후 재발은 일반적인 재발보다 증상이 더 심하고, 속도가 빠르다. 이런 환자들은 먼저 방사선 치료를 통해 병기를 낮춰서(다운스테이징) 간 절제 수술 가능 여부를 따질 수 있다.”

▷간 이식 후에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수술 후 관리는 수술의 성공률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골고루 음식을 잘 챙겨 먹으며 영양 상태와 면역력을 끌어올려야 한다. 간혹 간에 좋다는 이유로 미나리, 상황버섯 등 여러 약재를 챙겨 먹는 환자들도 있는데, 오히려 간에 부담을 줘 병세가 나빠질 수 있다. 전문의의 조언을 따르는 게 우선이다.”

▷간암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간암은 초기 증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가 최고의 예방법이다. 만성 간염 환자, 간 질환자 등 간암 고위험군은 6개월마다 혈청 알파태아단백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을 받아야 한다. 이런 검사를 통해 암을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 가능성도 커진다. 고위험군이 아니라도 40대 이상이라면 일반 건강검진 시 한 번 정도 검사를 받아볼 것을 추천한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