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피해 규모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5일 이명수 국민의힘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은 지난해 7000억원으로 2019년 6398억원에 비해 9.4% 증가했다.

반면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지난해 3만1681건으로 2019년 3만7667건에 비해 15.8% 감소했다. 올해 1~8월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2만2816건, 피해금액은 5622억원으로 나타났다.

올해 발생한 보이스피싱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면편취형(대면) 수법은 전년대비 106% 증가했다. 반면 계좌이체형(비대면) 수법은 71% 감소했다. 이 의원은 “예전에는 뉴미디어 활용이나 정보에서 소외된 노인층을 상대로 한 계좌이체형 범죄가 많았다”며 “최근에는 검찰‧변호사‧가족 등 신분변조를 이용하거나 피해자 정보를 사전에 파악한 후 집중공략하는 수법으로 고도화함에 따라 20대, 30대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년을 대상으로 취업 관련 문자메시지를 보낸 뒤 개인정보를 알아내 대포통장으로 활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된 청년들의 개인정보를 통해 대포통장을 만들어 활용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알바로 모집된 청년들은 총책이 누군지, 정확히 어떤 일에 가담되는지 모른 채 수금전달책이나 전화연락책에 이용당해 범죄 가해자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보이스피싱 수법이 날로 새로워지고 범죄조직의 규모 또한 커지는 상황에서 경찰은 현재의 검거 및 수사활동 만으로 벅찬 수준"이라며 “과학수사와 사이버수사 기법 등 새로운 수사기법과 대응방안을 개발하면서, 신종 수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강호 기자 callm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