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업계가 3개월 연속으로 중국을 제치고 월별 수주 1위 자리를 지켰다.고부가가치 선박인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을 비롯해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등 주력 선종 수주를 싹쓸이하면서다. 신조선가도 9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2011년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침체에서 벗어나고 있다. 최근 철광석 가격 하락과 맞물려 하반기 조선업계에 훈풍이 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고부가가치船 싹쓸이한 韓 조선11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7월 세계 선박 발주량 401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가운데 한국이 181만CGT(24척, 45%)를 수주하며 3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이 177만CGT(49척, 44%)를 수주해 뒤를 이었고, 일본은 40만CGT(21척, 10%)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올 들어 7월까지 누적 수주는 중국이 1348만CGT(474척, 45%)로 가장 많았다. 한국이 1276만CGT(304척, 43%) 규모의 수주 계약을 따내며 중국을 뒤쫓고 있다. 한국의 1~7월 누계 수주는 조선업계 ‘슈퍼 사이클’로 불린 2008년 1550만CGT 이후 최대 실적이다.중국을 누른 힘은 LNG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에 있었다. 한국은 올해 상반기 발주된 대형 LNG운반선 16척 전부(100%)를 싹쓸이하고, VLCC 31척 중 27척(87%), 초대형 컨테이너선 154척 중 절반이 넘는 81척(51%)을 휩쓸었다. 중국에 비해 수주 척수가 30% 이상 적지만 CGT 기준으론 접전을 펼친 비결이다.수주는 7월에도 이어졌다. 한국조선해양은 7월에만 LNG운반선 14척을 포함해 총 16척, 금액 기준으로 4조원어치를 쓸어담으며 저력을 발휘했다. 삼성중공업 역시 LNG운반선 4척을 수주하며 성과를 냈다. LNG운반선 시장을 한국 업체들이 독식한 셈이다.선가도 9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8월 첫주 144.5포인트를 기록해 2011년 9월 140.6포인트 이후 10년 만에 140포인트대를 회복했다. 신조선가지수는 2008년 8월 191.5포인트를 고점으로 2017년 3월 121.4포인트까지 장기간 하락한 뒤 점진적으로 회복하는 추세다. 철광석 가격도 급락…원가 부담 덜까신조선가 상승은 조선업계 원가 부담도 크게 덜어줄 전망이다. 조선 3사는 올해 상반기에만 최소 2조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봤다. 작년까지 t당 60만원 선이던 조선용 후판 공급가가 철광석 가격 상승으로 상반기 70만원으로 뛰고, 하반기에는 100만원을 훌쩍 넘길 것이란 전망에 조선사들이 예상 손실분을 2분기 실적에 미리 반영했기 때문이다.이런 상황에서 최근 중국의 조강 감산 여파로 후판 원료인 철광석 가격이 떨어지면서 조선업계가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다. 국제 철광석 가격은 지난 6일 기준 t당 179.37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 5월 t당 226.46달러에 비해 3개월 만에 21% 떨어졌다.평행선을 달리던 조선·철강업계의 후판 가격 협상도 조선사들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국조선해양 등 조선사들은 하반기 후판 가격을 t당 100만~115만원 사이로 보고 손실충당금을 반영했지만 최종 협상 결과는 이에 미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조선업계 관계자는 “고부가 선박에서 한국 조선의 우위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며 “수주가 수익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후판 등 비용 부문의 안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메리츠증권은 무상감자를 마치고 10일 거래가 재개되는 삼성중공업에 대해 유상증자 이후의 펀더멘털 개선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투자의견 '중립'과 목표주가 5000원을 유지했다. 거래 정지 전 기준가는 6540원이다.메리츠증권은 삼성중공업의 2분기 말 자본총계를 2조9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지난달 22일 종가 6540원 기준 시가총액 4조1200억에 2분기 강재가격 인상 예상분을 반영한 영업적자 4379억원, 지배지분순손실 4459억원을 반영한 결과다. 작년 말 자본 총계는 3조7200원이었다.삼성중공업은 액면가 5000원의 보통주와 우선주를 1000원으로 5분의 1 감액했다. 향후 있을 유상증자에 따라 발행주식 총수는 기존 8억주에서 15억주로 확대된다. 총 자본금은 보통주 기준 3조1500억원에서 6300억원으로 감액되며, 차액은 자본잉여금으로 이전돼 자본의 변동은 없었다.김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삼성중공업 거래가 재개되면 기준가는 3270원부터 9810원 사이에서 시초가가 결정될 예정"이라며 "거래정지 기준 6540원은 2분기 말 주당순자산가치(BPS)약 4600원 기준 주당순자산비율(PBR) 1.42배 수준"이라고 분석했다.다만 그는 "동종업계의 현재 주가가 PBR 0.85~1.4배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밸류에이션 매력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김 연구원은 "시초가 레벨에 따라 이벤트 매매가 집중될 개연성도 있다"며 "향후 4분기 내로 예상되는 1조원 규모의 유상증자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미인도된 재고자산 시추선 5기의 불확실성이 점진적으로 해소된다면, 유상증자 이후의 펀더멘털 개선이 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류은혁 한경닷컴 기자 ehryu@hankyung.com
신한금융투자는 2일 삼성중공업에 대해 부진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유상증자, 드릴쉽 매각·용선 계약 등 재무 안정성을 끌어올리고 있다며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올렸다. 목표주가도 기존 6600원에서 8900원으로 34.8% 상향 조정했다.황어연 신한금투 연구원은 "삼성중공업의 2분기 매출은 1조7000억원, 영업손실은 4379억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영업손실 1377억원)을 큰 폭으로 하회했다"며 "부진한 실적의 원인은 후판 가격 상승에 대비한 공사손실충당금(3720억원) 적립"이라고 했다.황 연구원은 "추가적인 후판 가격 상승이 없다면 상반기와 같은 대규모 공사손실충당금 인식 가능성은 낮다"며 "재고로 보유하고 있는 드릴쉽 5척 중 1척은 사이펨(Saipem)에 용선됐다. 용선기간은 오는 11월부터 2023년 8월이며 매각 옵션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글로벌 드릴쉽 용선료는 연간 감가상각비 400억원을 상회한다. 잔여 4척은 매각, 용선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드릴쉽 가동률은 연초 60.9%에서 64.0%로 상승했다. 매각 가능성이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황 연구원은 "후판 가격 하락, 고선가 수주 선박이 매출액으로 반영되는 2023년 전까지는 약 500억~600억원 정도의 제한적인 영업손실을 전망한다"며 "도크 슬랏 확정률은 2023년 92.5%, 2024년 60.0%로 추정된다"고 말했다.류은혁 한경닷컴 기자 ehry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