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봉쇄로 글로벌 공급망 더 차질…한중 등 수출국도 타격
WSJ "델타 변이에 아시아 경제회복 느려질 조짐"
전염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유행으로 아시아가 글로벌 경제 회복에서 약한 고리가 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현지시간) 진단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은 서구 선진국들과 달리 델타 변이 유행으로 최다 확진 기록을 세우고 있는 아시아 각국이 '글로벌 생산 기지'의 이점을 잃고 있다는 것이 신문의 분석이다.

그중에서도 타격이 심한 동남아시아는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와 봉쇄 조치 도입 탓에 제조업 생산이 지난해 5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레이시아는 지난 6월 초 비필수 업종의 공장 문을 닫으라고 명령, 의류업을 비롯한 비필수 업종 회사들에 비상이 걸렸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의류 공장이 계속 가동 중이지만 베트남 등 주변 국가의 봉쇄 조치 탓에 원재료 확보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현지 기업인들은 전했다.

국외 소비자 수요의 반등으로 혜택을 보던 중국과 한국 등 아시아의 수출국들도 "수출 엔진이 느려지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WSJ "델타 변이에 아시아 경제회복 느려질 조짐"
중국은 민간과 정부에서 각각 발표하는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각각 모두 1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 7월 PMI의 하위 지수인 신규수출주문지수는 47.7로 작년 6월 이후 가장 낮았다.

이 지수가 50을 밑돌면 주문이 감소했다고 보고한 수출업자가 더 많다는 뜻이다.

지난 6월 39.8%, 7월 29.6% 각각 수출이 증가한 한국 또한 향후 몇 달간 공급망 불확실성을 포함해 비슷한 역풍에 직면할 수 있다고 WSJ은 예상했다.

HSBC 아시아경제연구소의 프레더릭 노이만 공동소장은 "바이러스의 즉각적인 위협은 짧은 여러 달 사이에 가라앉겠지만, 경제적 영향은 한참 동안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하는 아시아의 봉쇄 조치는 이미 차질을 빚고 있는 국제 공급망 문제를 더 악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IHS마킷의 판징이 경제부소장은 아시아발(發) 공급 문제 악화가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나쁜 징조"라고 말했다.

신규 확진자 증가는 아시아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정상화 계획을 꼬이게 할 수도 있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일부 국가는 좀 더 오래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도 있겠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 계획을 고려할 때 해당 국가에서 자본 유출이 일어날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