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확산 막을 유일한 카드인데…
계약 4천만회분 중 3885만회분
3분기말~4분기 돼야 들어올 듯
화이자 백신 도입도 장담 어려워
정부가 다음주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는 55~59세에게 모더나 대신 화이자 백신을 맞히기로 했다. 모더나 백신 도입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백신 종류를 급히 바꾼 것이다. 모더나 수급이 언제 정상화될지는 미지수다. 의료계에선 당장 다음달로 예정돼 있는 18~49세 예방접종도 줄줄이 미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26일 브리핑에서 “8월 첫째주(2~8일)에 시행되는 55~59세 접종은 지역 구분 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부터 7월 30일까지 접종하는 55~59세 350만 명에 대해 수도권은 화이자, 비수도권은 모더나를 맞히기로 했는데, 다음주부터는 수도권·비수도권 관계없이 모두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단 모더나 백신만 접종 가능한 위탁의료기관 657개소에 접종을 예약한 사람은 기존대로 모더나를 맞는다. 다음달 16일부터 접종하는 50~54세 380만 명에게도 모더나 대신 화이자를 맞힐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부가 50대 접종 백신을 모더나에서 화이자로 변경한 것은 ‘모더나 수급난’ 때문이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모더나 측은 지난 23일 한국 정부에 “생산 관련 이슈가 있어 일부 도입 일정이 미뤄질 수 있다”고 알려왔다. 정부는 구체적인 생산 이슈가 무엇인지 파악하지도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지영 중앙사고수습본부 백신도입지원팀장은 ‘생산 관련 이슈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구체적인 상황을 다각도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선 모더나의 생산설비 부족으로 인해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마상혁 경남의사회 감염병대책위원장은 “델타 변이 확산으로 인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수요는 커졌지만 모더나의 생산능력은 수요 대비 부족한 상황”이라고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모더나 국내 생산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시제품이 8월 말이나 9월 초쯤 나온다는 것 같다”며 “엄격하게 검사해 테스트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본격) 활용 때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고 했다.
모더나 수급이 불안정해진 만큼 다음달 20~40대 접종이 미뤄질 가능성도 커졌다. 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가능 연령대를 50대 이상으로 상향함에 따라 20~40대는 화이자·모더나 등 mRNA 백신을 맞아야 한다. 하지만 모더나 백신 도입이 불투명해지면 사실상 화이자 백신에만 의존해야 한다.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20~40대 접종대상자는 1700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이들을 하나의 백신으로 접종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화이자 백신 도입도 장담할 수 없다. 글로벌 델타 변이 확산으로 인해 각국이 ‘부스터샷(백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추가접종)’을 위한 백신 확보에 나섰기 때문이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다소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네 자릿수 확진자를 이어가는 등 확산세는 여전하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총 121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날 동시간대 집계된 1252명보다 33명 줄어든 수치다. 다만 지난주 월요일 오후 9시 중간 집계된 1157명과 비교하면 62명 많다.주요 집단감염 사례를 살펴보면 경기 광명시 자동차 공장에서 1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경기 수원시 자동차부품 제조업 관련해서는 총 10명이 감염됐다. 또 충북 청주시 댄스학원 관련해 총 17명, 충남 금산군 고등학교에서는 총 1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까지 아직 시간이 남은 만큼 27일 0시를 기준으로 발표되는 신규 확진자는 이보다 더 늘어나 1200명대 후반, 많으면 1300명 안팎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날에는 오후 9시 이후 66명이 늘어 1318명으로 마감됐다. 최근 일주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1278명→1781명→1842명→1630명→1629명→1487명→1318명을 기록 했고, 하루 확진자 수는 지난 7일 1212명을 시작으로 20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가고 있다. 오후 9시 기준 이미 1000명을 넘기면서 27일로 21일째 네 자릿수 기록을 이어가게 됐다. 한편, 현재까지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752명(61.7%)은 수도권에서, 467명(38.3%)은 비수도권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작된 '4차 대유행'이 비수도권으로 확산하면서 전국화하는 양상이다.시도별로는 경기 357명, 서울 330명, 대전 68명, 대구 66명, 인천·경남 각 65명, 부산 62명, 강원 59명, 충남 34명, 전북 26명, 경북 25명, 광주 18명, 제주 17명, 충북 13명, 전남 8명, 울산·세종 각 3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화이자 백신 접종 후 심근염으로 숨진 사례에 대해 정부가 백신과의 인과성을 인정했다. 백신 접종자가 심근염으로 사망한 사례의 인과성이 인정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코로나19 백신피해조사반은 접종 후 사망과 중증 사례를 검토한 결과, 심근염으로 사망한 20대 남성 사례와 20대 심낭염 1건, 70대 여성의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건에 대해 인과성을 인정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심근염으로 숨진 20대 남성은 지난달 7일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을 받은 군인 A씨로 접종 엿새 뒤인 13일 새벽 1시께 동료 병사에게 가슴 통증과 컨디션 저하를 호소했다. A씨는 아침 8시께 침상 옆 바닥에서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사망했다. 부검 결과 심장과 심장전도계 주위에서 심근염 소견이 확인됐고, 정부는 예방 접종과 인과성이 있는 심근염 사례로 인정했다. 심낭염 진단 사례는 지난달 29일 2차 접종 11시간 뒤 흉통을 느낀 20대 남성으로, 병원 치료 후 회복했고, 70대 여성은 지난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 후 종아리 통증과 부종을 느낀 뒤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으로 확정돼 치료를 받았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일본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26일 NHK에 따르면 도쿄올림픽 개막 나흘째인 이날 집계한 일본의 코로나19 감염자는 4692명이다.다른 요일과 비교해 신규 확진자가 적게 나오는 경향을 보이는 월요일 기준으로 보면 지난 5월 10일(4938명) 이후 2개월 보름 만의 최다이다일본은 도쿄올림픽 개막일에 맞춰 법정공휴일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지난 22일부터 일요일까지 나흘간의 연휴가 이어져 화요일인 27일 이후로 신규 확진자가 한층 급증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최근의 확진자 폭증세는 인구가 밀집한 도쿄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두드러지고 있다. 올림픽 관계자 중에서도 신규 감염자가 계속 나오고 있다.대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해외에서 들어온 선수 3명과 선수촌에 머물던 대회 관계자 1명 등 올림픽 관련자 16명의 감염이 새롭게 파악됐다.조직위원회가 매일 신규 확진자 발표를 시작한 이달 1일 이후의 올림픽 관련 감염자는 모두 148명으로 늘었다.김정호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