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 한 잔과 같은 가벼운 음주도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성은주·고현영 교수와 코호트연구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 연구팀은 2011∼2015년 건강검진을 받은 약 33만 명을 2017년까지 추적·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음주는 암 발생과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인자로 잘 알려져 있으나 '가벼운' 음주도 건강에 해로운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의가 분분하다.
연구팀은 이들을 ▲ 평생 비음주자(태어난 이후로 제사 밀 종교 행사를 제외하고는 음주를 하지 않은 사람) ▲ 과거 음주자(과거에는 음주했으나 현재는 음주하지 않는 사람) ▲ 하루에 0.1g 이상 10g 미만 음주자 ▲ 하루에 10g 이상 20g 미만 음주자 ▲ 하루에 20g 이상 40g 미만 음주자 ▲ 하루에 40g 이상 음주자로 분류했다.
하루 알코올 섭취량 10g은 알코올 함량 20%의 소주를 보통 크기의 소주잔 1잔에 마시는 정도다.
보통의 맥주잔과 와인잔으로 4%의 맥주와 12%의 와인을 1잔 마실 때도 알코올 10g을 섭취하게 된다.
이후 연구팀은 평생 비음주자를 기준으로 음주량과 암 사망 위험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했다.
그 결과 평생 비음주자와 비교해 과거 음주자는 암으로 인해 사망할 위험이 2.75배 컸다.
하루에 소주 기준으로 1잔 미만을 마실 경우 1.67배, 소주 1잔 이상 2잔 미만은 2.41배, 소주 2잔 이상 4잔 미만 음주자는 2.66배 위험이 커졌다.
하루에 소주를 4잔 이상 마실 경우에는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평생 비음주자보다 2.88배까지 커졌다.
성 교수는 "가벼운 음주도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원인으로 확인됐다"며 "2014년 유럽의 음주 가이드라인도 암 예방을 위해서는 전혀 마시지 않도록 하고, 국내 암센터 가이드라인에서도 하루 한두 잔의 소량 음주도 피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과거에 음주하던 사람의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2.75배)이 1∼2잔 소량의 음주자보다 크다고 해서 술을 끊는 것보다 소량의 음주가 낫다고 결론 지어선 안 된다"며 "과거 음주자들은 끊기 전까지 많은 양의 술을 마셔서 소량 음주자 보다 누적된 알코올 소비량이 클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게재됐다.
코를 심하게 골고 자는 사람은 뼈와 치아가 약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버펄로 대학 치의과대학의 티아크리아트 알제웨이르 치열교정 전문의 연구팀이 성인 38명을 대상으로 콘빔 컴퓨터 단층촬영(CB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으로 두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일 보도했다. 이 중 19명은 코를 심하게 골고 자면서 자주 호흡이 끊기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 obstructive sleep apnea)이 있었다.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수면무호흡증이 없는 사람에 비해 치아를 비롯한 두경부의 골밀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가 낮으면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위험이 커진다. 치아의 골밀도가 낮으면 치아가 들뜨고 임플란트가 실패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수면무호흡증은 체내 산소 부족, 염증, 산화 스트레스를 가져와 뼈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결국엔 골밀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골밀도 저하 사이의 이러한 연관성은 추가 연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하지만 치열 교정 치료와 관련해 상당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치열 교정 치료 환자가 수면무호흡증 진단을 받았다면 치료 계획과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두개하악·수면 실습 저널'(Journal of Craniomandibular and Sleep Practice)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강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 전보다 400여명 감소했다. 3일 강원도 보건당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419명이다. 지역 별로는 원주 112명, 강릉 77명, 춘천 52명, 동해 25명, 속초 18명, 철원 15명, 태백·영월 각 14명, 삼척·양구 각 13명, 홍천·평창·화천 각 11명, 정선 10명, 횡성 9명, 양양 8명, 고성 4명, 인제 2명이다. 하루 전날보다 13명이, 일주일 전보다는 402명이 감소했다. 도내 누적 확진자는 89만330명이다. 병상은 119개 중 41개를 사용해 가동률은 34.5%다. /연합뉴스
만성 소화 장애인 셀리악병(Celiac disease)이 심장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셀리악병은 밀, 호밀, 보리에 들어있는 불용성 단백질인 글루텐(gluten)에 면역체계가 과잉 반응을 일으키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설사, 복통, 피로, 체중감소, 빈혈, 골다공증이 나타난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 의대의 미건 콘로이 역학 교수 연구팀이 약 50만 명(40~69세)의 유전, 생활 습관, 건강정보가 수록된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입원, 사망 자료를 통해 12년 이상 추적했다. 연구 기간에 약 4만1천 명이 심장질환 진단을 받았다. 이 중 220명이 셀리악병 환자였다. 연간 심장질환 발생률은 셀리악병이 없는 사람이 1천 명 중 7.4명, 셀리악병이 있는 사람은 1천 명 중 9명꼴이었다. 다시 말하면 셀리악병 환자는 심장질환 위험이 셀리악병이 없는 사람보다 27% 높다는 의미다. 셀리악병 유병 기간이 길수록 이러한 심장질환 위험은 더 커졌다. 셀리악병 유병 기간이 10년 미만인 사람은 심장질환 위험이 30%, 유병 기간이 10년 이상인 사람은 34% 높았다. 그러나 셀리악병 환자들은 과체중,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같은 심장질환 위험 요인은 오히려 적었다. 흡연, 신체 활동, 총콜레스테롤, 당뇨병, 혈압,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 등 심장 건강과 관련된 항목들을 중심으로 위험 점수를 매겼을 때 셀리악병 환자가 오히려 셀리악병이 없는 사람보다 성적이 양호했다. 그런데 셀리악병이 있으면서 심장질환 위험 점수가 양호한 사람은 셀리악병이 없고 심장질환 위험 점수가 양호한 사람보다 심장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