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9호선 운행할수록 적자

서울지하철의 원가보전율은 세계 주요 도시와 비교해도 크게 낮은 실정이다. 세계지하철연구단체(CoMET)가 2018년 39개 도시 지하철 요금의 원가보전율을 조사한 결과 서울(73%)은 영국 런던(123%), 홍콩(176%), 미국 뉴욕(85%)보다 떨어졌다. ㎞당 운임 역시 서울이 0.07달러로 런던(0.32달러) 홍콩·파리(0.14달러) 뉴욕(0.22달러)보다 쌌다.
서울지하철 요금은 2015년 1050원에서 1250원으로 한 차례 인상된 이후 꿈쩍도 안 하고 있다. 서울시 조례엔 2년에 한 번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추진하도록 돼 있지만 요금 인상이 필요할 때마다 시장이 정치적 부담을 느껴 미루곤 했다. 오세훈 시장도 지난 4월 취임 직후 “코로나19로 시민들이 어려운 상황에서 요금 인상은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시 싱크탱크인 서울연구원 내 교통시스템연구실은 대중교통 요금조정위원회를 신설하고 물가·인건비를 반영해 대중교통 요금을 정기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정치적 부담이 된다는 이유로 지하철 요금 인상을 언제까지 미룰 순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