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포럼서 박태균 교수 "4·3, 세계사적 보편성 획득해야"

제주4·3을 비롯해 냉전 시기 세계 각국에서 일어난 민간인 학살사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주4·3 여전히 논쟁적…국민 공감대 통한 해결 필요"
4·3의 '항쟁'적 성격과 관련한 연구를 통해 세계사적 보편성을 획득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25일 제주에서 열린 제16회 제주포럼 '4·3과 세계 냉전 그리고 평화' 세션에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장 박태균 교수는 "아직도 4·3사건은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있으며, 이는 사건의 성격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1948년 제주에서 발생한 4·3사건은 냉전의 기점에서 정점을 찍은 학살"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4·3은 한반도 분단의 시점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제주는 이 사건으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위한 선거가 실시되지 않은 유일한 지역이 됐다"며 "그로부터 7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이 사건의 성격과 피해 규모, 가해 책임의 문제에 대해서는 명확한 진실이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제주4·3 여전히 논쟁적…국민 공감대 통한 해결 필요"
이어 냉전 시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민간인 학살사건 사례를 함께 제시하면서 "이들 나라 역시 보상은 물론 학살과 관련한 내용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민간인 학살은 이데올로기 또는 정치적인 문제가 아닌 반드시 풀어야 할 인륜의 문제이며 시대의 문제"라며 "이 문제를 풀지 않고서는 일본의 역사 인식이나 미군의 노근리 민간인 학살 사건 등을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제주 4·3 진상규명을 위한 전제조건을 제시했다.

그는 "4·3 사건은 '항쟁'과 '학살'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지만, 지금껏 학살 부분에 초점이 맞춰졌다"며 "항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세계사적 보편성을 획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어떠한 항쟁도 주동자가 있고 이에 대한 민중들의 동조가 있다.

이 중 어느 하나가 빠져도 항쟁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4·3의 세계사적 보편성과 특수성 담보, 문학과 영화·다큐멘터리 등을 통한 4·3의 문화 콘텐츠화 등을 제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