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쉽게 주조해 즐겨"…보유자·단체 인정 안 해
삼국시대 이전부터 즐긴 술…'막걸리 빚기' 무형문화재 됐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즐긴 것으로 추정되는 대중적인 술 막걸리를 빚는 문화가 국가무형문화재가 됐다.

문화재청은 막걸리 빚는 작업과 생업·의례·경조사 활동 등에서 막걸리를 나누는 전통 생활관습을 아우르는 개념인 '막걸리 빚기'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앞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문배주, 면천두견주, 경주 교동법주는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전래한 술이지만, 막걸리는 전국에서 쉽게 주조해 즐긴 술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문화재청은 막걸리 빚기가 한반도 전역에서 국민이 전승하고 향유하는 문화라는 점을 고려해 '아리랑',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처럼 특정 보유자와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았다.

국민이 국가무형문화재를 제안해 지정된 첫 사례인 막걸리 빚기의 주재료는 쌀과 물, 누룩이다.

보통은 쌀을 씻어 고두밥을 지어 식힌 다음 누룩과 물을 넣어 며칠간 발효시키고 체에 거르는 과정을 거쳐 만든다.

'막'은 '바로 지금', '바로 그때'를 뜻하며, '걸리'는 '거르다'를 의미한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즐긴 술…'막걸리 빚기' 무형문화재 됐다
막걸리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삼국시대 이전에 농사를 짓던 시절부터 사람들이 마셨을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막걸리를 뜻하는 단어로 짐작되는 '미온'(美醞), '지주'(旨酒), '료예'(醪醴)가 나오고, 고려시대 문인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등에서는 '백주'(白酒)라는 단어가 확인된다.

조선시대 소설 '춘향전'과 백과전서 '광재물보'에서는 한글로 쓴 '목걸리'나 '막걸니'를 찾아볼 수 있고, '규합총서'나 '음식디미방' 같은 조리서에도 탁한 형태의 막걸리로 판단되는 술에 대한 기록이 있다.

막걸리는 "같은 품삯을 받더라도 새참으로 나오는 막걸리가 맛있는 집으로 일하러 간다"는 말이 회자할 정도로 농민이 좋아하는 농주(農酒)이자 제사상에 올리는 신주(神酒)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까지는 집마다 빚는 가양주였으나, 근대 이후에는 국가 정책에 따라 양조장 막걸리가 일반화했다.

술을 만드는 기법과 재료는 일부 변화했으나, 지금도 각지에서 다양한 막걸리를 빚어내 전통주로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즐긴 술…'막걸리 빚기' 무형문화재 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막걸리 빚기는 한반도에서 오랜 기간 전승됐고, 고문헌에 제조 방법 관련 기록이 남아 있어 역사성이 있다"며 "다양한 학문에서 학술 연구 자료로서 가능성이 있는 점,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술이라는 점, 지역별 특색이 다양하고 많은 공동체가 전통지식을 전승한다는 점에서 무형문화재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한국막걸리협회, 대한탁약주제조중앙회와 함께 오는 26일 오후 5시에 수원 화성행궁에서 '막걸리 빚기'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념행사를 연다.

또 26∼27일에는 전국 26개 막걸리 양조장에서 투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