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활성' 노화 소교세포, 독성 아밀로이드 침적 촉진
가속 페달 밟는 '세포 무리'도 확인…저널 '셀 리포트' 논문
알츠하이머병 싹틀 때 독(毒)이 되는 면역세포 발견

치매는 주로 알츠하이머병에서 생긴다.

지역과 인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치매 진단 환자의 50~75%는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다.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치매는 세계 보건 의료계의 주요 이슈로 부상한 지 오래다.

영국의 경우 현재 약 85만 명인 치매 환자가 2040년에는 160만 명이 될 거로 예상된다.

알츠하이머병은 오랜 세월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따라서 이제 막 생긴 초기 단계에 진단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알츠하이머병은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다.

발병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는 건 물론이고 진행 속도를 늦추는 치료도 어렵다.

많은 과학자가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에 주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생 초기에 뇌 조직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의 면역세포인 소교세포(microglia)가 일부 노화해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진행을 가속한다는 게 요지다.

'신경아교세포'라고도 하는 소교세포는 중추 신경계 조직을 지지하면서 뇌와 척수의 신경세포(뉴런)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고, 노폐물 등을 제거하는 식세포 작용도 한다.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의 디에고 고메스-니콜라 생물과학 부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8일(현지 시각) 생명과학 저널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논문으로 실렸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고메스-니콜라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은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되는데 우리는 초기 단계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잘 모른다"라고 토로했다.

알츠하이머병 싹틀 때 독(毒)이 되는 면역세포 발견

치매의 진행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 조직에 쌓이면 소교세포가 제일 먼저 반응해 증식한다.

연구팀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외부 단백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이런 반응은 면역세포로서 소교세포가 수행하는 기능 중 하나다.

이처럼 소교세포가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지속해서 접촉하면, 치매의 진행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가 소교세포에 생길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추론했다.

그런데 당연한 것 같았던 소교세포의 증식이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진행에 결정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유사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생쥐 모델에 실험해, 소교세포를 계속 활성 상태로 두면 그중 일부가 노화 상태로 변한다는 걸 알아냈다.

이 소교세포 무리는 노화로 인한 대사 기능 장애와 염증성 기능 장애를 보였다.

뜻밖에도 알츠하이머병 초기에 독성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을 가속하는 게 바로 이 소교세포 무리였다.

이는 알츠하이머병 사망 환자의 사후 검시 샘플 분석에서도 검증됐다.

반대로 생쥐 모델의 소교세포가 증식을 멈추면, 관련 소교세포 무리의 노화 속도가 떨어지고 독성 아밀로이드 수치도 낮아졌다.

고메스-니콜라 교수는 "(아밀로이드 축적에 반응하는) 소교세포 증식의 장기적인 결과와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에 미치는 충격을 확인한 건 처음"이라고 말했다.

알츠하이머병 싹틀 때 독(毒)이 되는 면역세포 발견

연구팀은 더 나아가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가속에 관여하는 작은 소교세포 그룹을 정확히 확인하는 데도 성공했다.

당연한 일이지만, 이 발견은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추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함의를 가질 거로 과학자들은 평가한다.

알츠하이머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 더 많은 통찰을 갖게 될 뿐 아니라, 노화 소교세포 그룹을 표적으로 삼아 알츠하이머병 연구와 치료제 개발 노력을 집중할 거라는 얘기다.

고메스-니콜라 교수는 "이런 것들이 모여 알츠하이머병 치료법 연구의 결정적 돌파구를 더 빨리 찾게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