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코로나19 사태 영향"…민간 취업 지원 강화 방침
작년 정부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 민간취업률 38%에 그쳐
지난해 정부의 직접 일자리 사업 참여자 가운데 민간 부문 취업에 성공해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사람의 비율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앞으로 직접 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민간 부문 취업을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둘 방침이다.

고용노동부가 8일 발표한 '재정 지원 일자리 사업 평가 및 개선 방안'에 따르면 지난해 직접 일자리 사업에는 97만명이 참여했다.

직접 일자리 사업은 정부가 취약계층의 민간 부문 취업 지원과 소득 보조 등을 위해 한시적으로 공공 부문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을 가리킨다.

지난해 직접 일자리 사업 참여자 중 사업에 참여한 지 6개월 이내에 민간 부문에 취업해 6개월 이상 근무한 사람의 비율인 고용유지율은 37.8%에 그쳤다.

전년(51.3%)보다 13.5%포인트 낮았다.

이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민간 노동시장이 얼어붙은 데 따른 결과라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직접 일자리 사업 참여자 중 취약계층의 비율은 57.3%로, 전년(51.8%)보다 높았다.

취약계층 지원이 직접 일자리 사업의 취지라는 점을 고려하면 개선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노동부는 내년에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노동시장이 회복되는 점을 고려해 직접 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민간 부문 취업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직접 일자리 사업 수행 기관과 고용센터의 연계 강화 등을 통해 적극적인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안경덕 노동부 장관은 "위기 국면에서 공공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유지 중심 정책이 버팀목 역할을 했으나 이후에는 민간 일자리 취업 지원으로 우선순위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작년 정부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 민간취업률 38%에 그쳐
정부 일자리 사업에는 직접 일자리 사업 외에도 채용과 고용 유지를 지원하는 고용장려금, 취업 알선 등을 포함한 고용서비스, 직업훈련, 창업 지원, 실업 소득 지원 등의 사업이 있다.

지난해 정부 일자리 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당초 25조5천억원이었지만,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한 추경 편성 등으로 8조1천억원이 추가돼 33조6천억원으로 늘었다.

일자리 사업 참여자는 671만명에 달했다.

연령대별로는 15∼34세가 259만명(38.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5∼54세(219만명), 65세 이상(101만명), 55∼64세(91만명) 순이었다.

15∼34세 청년층은 주로 고용장려금과 직업훈련 사업에 참여했다.

성별로는 여성(388만명)이 남성(283만명)보다 많았다.

사업 유형별 참여자는 고용장려금(258만명)이 가장 많았고 직업훈련(180만명)과 고용서비스(133만명)가 뒤를 이었다.

노동부는 지난해 정부 일자리 사업에 평가 등급을 매긴 결과도 공개했다.

145개 일자리 사업 중 '우수'는 14개, '양호'는 81개, '개선 필요'는 36개였다.

성과 부진으로 '감액' 등급을 받은 사업은 14개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