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열대야·집중호우 등 극한기후 '뚜렷'…강수 강도 세져
전 지구 평균보다 온난화 속도 빨라…"기후위기 심각성 체감"
기후변화로 여름 길어지고 가장 추운 절기도 영상의 기온
기후변화로 인해 지난 100여 년간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차 길어지고 절기상 가장 추운 '대한'이나 '소한'의 기온이 영상으로 올랐다.

또 폭염, 열대야, 집중 호우 등 극한기후 현상은 더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강수일수는 줄었지만 강수 강도는 강해지는 추세를 보였다.

기상청은 109년간 관측자료를 보유한 6개 지점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과거(1912∼2020년) 기후변화 추세를 분석한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기후변화로 여름 길어지고 가장 추운 절기도 영상의 기온
최근 30년(1991∼2020년) 연평균 기온은 과거 30년(1912∼1940년)보다 1.6도 상승했다.

109년간 연평균 기온은 10년마다 0.2도씩 꾸준히 올랐고, 특히 봄과 겨울의 기온 상승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계절별 10년당 기온 상승 폭은 봄 0.26도, 겨울 0.24도, 가을 0.17도, 여름 0.12도 순이었다.

지점별 최근 30년과 과거 30년간 기온 차는 대구와 서울이 각 2.0도, 1.9도에 달하는 것과 달리 목포는 0.8도에 그쳐 내륙과 해안, 도시화에 따른 차이가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10년당 기온 상승 폭은 대구 0.26도, 서울 0.24도, 인천·강릉 0.2도, 부산 0.18도, 목포 0.1도였다.

연 강수량은 최근 30년이 과거 30년보다 135.4㎜ 많았고, 강수일수는 21.2일 감소했다.

109년간 연 강수량은 매 10년당 17.71㎜ 증가했지만, 강수일수는 감소해 강수 강도는 강해졌음을 알 수 있다.

기후변화로 여름 길어지고 가장 추운 절기도 영상의 기온
계절별로는 여름철 강수량이 10년당 15.55㎜씩 가장 많이 늘었고 가을 5.16㎜, 봄 1.83㎜가 뒤를 이었다.

겨울은 0.65㎜ 줄었다.

강수일수는 전 계절 고르게 감소했고, 강수 강도는 가을(하루당 0.31㎜), 여름(0.26㎜), 봄(0.07㎜) 순으로 증가했다.

겨울의 강수 강도는 하루당 0.02㎜ 감소했다.

극한기후지수는 폭염·열대야 일수 등 더위 관련 지수가 뚜렷하게 증가했고, 호우 등 극한 강수 발생 일수도 늘었다.

폭염, 열대야 일수는 과거 30년 대비 최근 30년이 각 1일과 8.4일 증가한 반면에 한파, 결빙 일수는 4.9일과 7.7일 줄었다.

호우 일수는 0.6일 증가했다.

기상청은 "지구온난화가 가속할수록 극심한 더위뿐만 아니라 집중 호우 등 막대한 피해를 가져오는 극한기후 현상이 더 빈번하게 강하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계절 시작일과 길이의 변화도 분명했다.

과거 30년 대비 최근 30년의 여름은 20일 길어지고 겨울은 22일 짧아졌다.

봄과 여름 시작일은 각 17일과 11일 빨라졌다.

최근 30년간 여름은 118일로 가장 긴 계절이고 가을은 69일로 가장 짧았다.

기후변화로 여름 길어지고 가장 추운 절기도 영상의 기온
24절기를 보면 과거보다 기온이 0.3∼4.1도 올랐다.

겨울과 봄에 해당하는 절기의 기온 상승 폭이 높았고, 가장 추운 절기인 대한과 소한에도 영상 기온을 보였다.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동지'는 모든 절기 중 기온 상승 폭이 가장 컸고, 가장 큰 추위를 나타내는 절기는 대한에서 소한으로 바뀌었다.

절기별 기온 상승 폭은 동지 4.1도, 청명 3.4도, 입동 3.3도, 대한 3.0도였다.

대한은 과거 30년 영하 2.1도에서 최근 30년 0.9도, 소한은 영하 1.2도에서 0.8도로 기온이 올랐다.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경칩'과 여름의 시작인 '입하'의 과거 기온이 나타나는 시기는 각 13일과 8일 앞당겨져 봄과 여름 시작일이 빨라진 것과 일치했다.

109년간 전 지구에 비해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은 0.8도 오르고, 이산화탄소(CO₂) 농도는 6.5ppm 높은 것으로 분석돼 우리나라의 온난화·도시화가 전 지구 평균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과거 한 세기 우리나라 기후변화 역사를 되돌아본 이번 분석 결과는 다시 한번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하는 동시에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2050년 탄소중립까지 숨 가쁘게 달려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