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아세안이 추진 중인 CCUS판 쿼드 합류해야"

지구의 날(4월 22일)을 앞두고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확보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1일 발표한 '탄소포집기술의 글로벌 동향과 과제'에서 이같이 밝혔다.

CCUS는 석탄발전소 등에서 방출된 탄소를 포집해 재사용·저장함으로써 대기 중에 유입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전경련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한국 보고서를 통해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절대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감축 목표와 다르게 배출량이 증가했다며 CCUS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관련 정보를 공개한 38개 사의 온실가스배출량은 2017년부터 3년간 2.9% 증가했다.

한국이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2017년 배출량 대비 24.4% 감축하겠다고 잡은 것을 고려하면 대비되는 수치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한 기업 수도 분석대상 38개 중 16개에 불과했다.

전경련 "탄소중립 달성,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에 달려"
전경련은 최근 국제사회가 CCUS를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으로 판단해 기술개발에 속도를 내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2018년 CCUS 시설 등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상향 조정하고, 적용대상을 확대하는 '45Q 텍스 크레디트 법안'을 통과시켰다.

일본도 2016년 경제산업성과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가 '탄소활용로드맵 1.0'을 발표하고, 2030년 CCUS 상용화를 위한 글로벌 로드맵을 제시했다.

노르웨이는 정부 주도로 27억 달러(3조원)를 투자해 대규모 탄소 포집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에 반한 한국은 지난달 말에야 올해 상반기 중 관련 기술 상용화 로드맵을 발표하겠다고 하는 등 기술개발 경쟁에서 상당히 뒤처진 상황이다.

전경련은 미·일·호주·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등이 CCUS 상용화 파트너십을 추진 중이라며 한국도 참여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술개발에 적극적인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고, 아세안이 테스트베드(시험환경)를 주도하는만큼 참여시 기술공유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유다.

또 아세안 지역 매장실적을 흡수실적으로 인정받을 수도 있다.

전경련은 "CCUS판 쿼드 논의 추이를 주시하며 합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국내 CCUS 상용화 기술 확보 목표 시점을 최대한 단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