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의대 이무식 교수, 지역사회 건강조사 분석 결과
직장 내 간접흡연 노출률은 높아…"금연사업 개선 필요"
대전시민이 전국 평균보다 담배는 적게 피우는데, 술은 더 많이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건양대 의과대학 이무식(57) 교수는 지난해 대전시 지역사회 건강조사 주요 분석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지난해 8월 16일부터 10월 31일까지 대전시민 4천57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를 보면 흡연율은 17.3%로, 전국 19.8%보다 2.5%포인트 낮았다.
전년도 18.9%와 비교해도 1.6%포인트 줄었다.
5개 자치구 중 동구가 22.2%로 가장 높았고, 유성구가 13.5%로 가장 낮았다.
다만, 직장 내 간접흡연 노출률은 전국 13.5%를 웃도는 17.2%였다.
이 교수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시행하는 금연사업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뜻"이라며 "직장 안에서의 금연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월간 음주율은 56.5%로, 전국 54.7%보다 1.8%포인트 높았다.
전년도 58.7%와 비교해서는 2.2%포인트 낮아졌다.
구별로는 중구가 58.4%로 가장 높고, 대덕구가 53.1%로 가장 낮았다.
비만율(27.0%)과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 인지율(23.9%)은 전국 중앙값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걷기 실천율은 33.3%로, 전국 평균 37.4%에 못 미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걱정(복수 응답)도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자신에 대한 감염 염려(77.3%)보다는 가족 중 건강취약자 감염 염려(87.2%), 경제적 피해(80.8%), 감염으로 인한 주변 비난(80.1%) 등을 더 신경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직장 내 간접흡연 노출률은 높아…"금연사업 개선 필요"

건양대 의과대학 이무식(57) 교수는 지난해 대전시 지역사회 건강조사 주요 분석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지난해 8월 16일부터 10월 31일까지 대전시민 4천57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를 보면 흡연율은 17.3%로, 전국 19.8%보다 2.5%포인트 낮았다.
전년도 18.9%와 비교해도 1.6%포인트 줄었다.
5개 자치구 중 동구가 22.2%로 가장 높았고, 유성구가 13.5%로 가장 낮았다.
다만, 직장 내 간접흡연 노출률은 전국 13.5%를 웃도는 17.2%였다.
이 교수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시행하는 금연사업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뜻"이라며 "직장 안에서의 금연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월간 음주율은 56.5%로, 전국 54.7%보다 1.8%포인트 높았다.
전년도 58.7%와 비교해서는 2.2%포인트 낮아졌다.
구별로는 중구가 58.4%로 가장 높고, 대덕구가 53.1%로 가장 낮았다.
비만율(27.0%)과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 인지율(23.9%)은 전국 중앙값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걷기 실천율은 33.3%로, 전국 평균 37.4%에 못 미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걱정(복수 응답)도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자신에 대한 감염 염려(77.3%)보다는 가족 중 건강취약자 감염 염려(87.2%), 경제적 피해(80.8%), 감염으로 인한 주변 비난(80.1%) 등을 더 신경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