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형 헬기로 적응훈련 후 실제 헬기 탑승·구조활동 훈련
소방청 중앙119구조본부는 오는 25일 경남 창녕 화왕산 일대에서 소방헬기에 인명구조견이 탑승해 출동하는 수색훈련을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훈련은 치매 환자 실종이나 산악지역 조난 사고 발생 때 인명구조견을 보다 신속하게 현장에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인명구조견이 후각을 이용해 실종자나 조난자를 찾아내려면 다른 수색 인원보다 현장에 먼저 도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인명구조견은 차량을 이용한 현장 출동에 더 익숙하기 때문에 실제 훈련에 앞서 22∼24일 단계적으로 헬기 탑승 적응훈련을 진행한다.
인명구조견 3마리를 대상으로 모형 헬기를 이용해 안전벨트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헬기 진입·탈출, 헬기 내 움직임 최소화, 하강·인양 등에 익숙해지는 훈련을 진행할 예정이다.
실제 훈련은 25일 인명구조견 1마리당 1차례씩 시행한다.
헬기에 탑승해 대구 중앙119구조본부에서 경남 창녕 화왕산 정상까지 이동한 뒤 인양기를 이용한 하강과 구조활동을 하게 된다.
현재 전국에는 인명구조견 28마리가 활동하고 있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구조 현장에 2천55건 출동해 생존자 48명을 구조했다.
소방청은 2024년까지 화재조사·수난구조·사체탐지 등 특수목적견을 포함해 20마리를 추가로 배치, 운영할 예정이다.
최병일 중앙119구조본부장은 "최근 치매 환자 실종 신고가 꾸준히 늘고 있어 인명구조견의 수색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훈련을 하겠다"고 말했다.
[표] 최근 3년 인명구조견 출동실적
┌────┬───────┬──────┬─────────────────┐
│ 구분 │ 구조견(두) │출동실적(건)│ 구조실적 │
│ │ │ ├─────┬─────┬─────┤
│ │ │ │ 구조(건) │ 생존(명) │ 사망(명) │
├────┼───────┼──────┼─────┼─────┼─────┤
│ 계 │ - │ 2,055 │ 115 │ 48 │ 67 │
├────┼───────┼──────┼─────┼─────┼─────┤
│ 2018년 │ 29 │ 589 │ 34 │ 14 │ 20 │
├────┼───────┼──────┼─────┼─────┼─────┤
│ 2019년 │ 28 │ 804 │ 44 │ 17 │ 27 │
├────┼───────┼──────┼─────┼─────┼─────┤
│ 2020년 │ 28 │ 662 │ 37 │ 17 │ 20 │
└────┴───────┴──────┴─────┴─────┴─────┘
/연합뉴스

이번 훈련은 치매 환자 실종이나 산악지역 조난 사고 발생 때 인명구조견을 보다 신속하게 현장에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인명구조견이 후각을 이용해 실종자나 조난자를 찾아내려면 다른 수색 인원보다 현장에 먼저 도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인명구조견은 차량을 이용한 현장 출동에 더 익숙하기 때문에 실제 훈련에 앞서 22∼24일 단계적으로 헬기 탑승 적응훈련을 진행한다.
인명구조견 3마리를 대상으로 모형 헬기를 이용해 안전벨트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헬기 진입·탈출, 헬기 내 움직임 최소화, 하강·인양 등에 익숙해지는 훈련을 진행할 예정이다.
실제 훈련은 25일 인명구조견 1마리당 1차례씩 시행한다.
헬기에 탑승해 대구 중앙119구조본부에서 경남 창녕 화왕산 정상까지 이동한 뒤 인양기를 이용한 하강과 구조활동을 하게 된다.
현재 전국에는 인명구조견 28마리가 활동하고 있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구조 현장에 2천55건 출동해 생존자 48명을 구조했다.
소방청은 2024년까지 화재조사·수난구조·사체탐지 등 특수목적견을 포함해 20마리를 추가로 배치, 운영할 예정이다.
최병일 중앙119구조본부장은 "최근 치매 환자 실종 신고가 꾸준히 늘고 있어 인명구조견의 수색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훈련을 하겠다"고 말했다.
[표] 최근 3년 인명구조견 출동실적
┌────┬───────┬──────┬─────────────────┐
│ 구분 │ 구조견(두) │출동실적(건)│ 구조실적 │
│ │ │ ├─────┬─────┬─────┤
│ │ │ │ 구조(건) │ 생존(명) │ 사망(명) │
├────┼───────┼──────┼─────┼─────┼─────┤
│ 계 │ - │ 2,055 │ 115 │ 48 │ 67 │
├────┼───────┼──────┼─────┼─────┼─────┤
│ 2018년 │ 29 │ 589 │ 34 │ 14 │ 20 │
├────┼───────┼──────┼─────┼─────┼─────┤
│ 2019년 │ 28 │ 804 │ 44 │ 17 │ 27 │
├────┼───────┼──────┼─────┼─────┼─────┤
│ 2020년 │ 28 │ 662 │ 37 │ 17 │ 20 │
└────┴───────┴──────┴─────┴─────┴─────┘
/연합뉴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