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카페
카카오 인사평가 방식 논란
"동료 20%가 당신과 일하기 싫어합니다"
이유·개선방안은 조사 안해
온라인에 공개되며 비판 목소리
카카오 인사평가 방식 논란
"동료 20%가 당신과 일하기 싫어합니다"
이유·개선방안은 조사 안해
온라인에 공개되며 비판 목소리

사진=연합뉴스
익명을 요구한 30대 카카오 직원 A씨는 2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상사가 회의와 티타임에 나를 부르지 않거나 동료들에게 험담하는 식으로 ‘왕따’를 시켰다”며 “중증 우울증과 불면증 판정을 받아 1년 가까이 상담 및 약물치료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은 2019년 한 상사에 대한 상향평가 내용이 해당 상사에게 그대로 전달되면서 시작됐다. 카카오에서는 직원이 윗사람을 대상으로 한 상향평가 내용이 그대로 해당 상사에게 전달되는가 하면, 직장 동료들끼리 상대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조사한 뒤 이를 통보해 분란이 일어난다는 게 일부 직원의 얘기다.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지난 17일 카카오 직원으로 추정되는 한 직원이 ‘유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직장 내 괴롭힘을 겪었다는 내용의 이 글은 원문이 삭제된 상태다. 다음날에도 카카오 직원으로 추정되는 네티즌이 ‘카카오의 인사평가는 살인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작성자는 “다면평가를 하나 조직장은 참고만 할 뿐 본인이 원하는 대로 평가 결과를 산정할 수 있다”며 “조직장 눈 밖에 나면 지옥이 시작된다”고 했다.
카카오 측은 “극단적 선택을 한 직원은 없었다”며 “상향평가 제도는 임직원이 원해서 도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연말에 ‘그간 과제를 함께 수행한 동료들의 나에 대한 평가’도 시행한다. 동료 평가에서는 △이 사람과 다시 함께 일하고 싶나요 △이 사람의 역량은 충분한가요 등을 묻는다. 해당 평가는 연봉과 성과급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직원에게는 “너와 함께 일한 동료 중 20%가 너와 다시 일하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는 식의 통보가 간다. 한 카카오 직원은 “일하기 싫은 이유는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알 수 없다”고 했다.
최다은/김남영 기자 max@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