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조사, 제조업 비중 낮고
일부는 설문 몰라…신뢰성 의문
직격탄 맞는 기업 목소리 외면
고용노동부가 중소기업에 대한 주 52시간 근로제 적용을 미루지 않기로 한 것은 자체적으로 한 실태조사에 바탕을 둔 것이다. 90%를 웃도는 중소기업이 주 52시간제에 대해 준비돼 있다고 답변했다는 게 고용부가 제시한 실태조사 결과다.
고용부의 ‘50~299인 노동시간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조사 대상 기업의 91.1%가 내년 주 52시간제를 준수할 수 있다고 답변했다. 81.1%는 이미 주 52시간제를 준수하고 있으며, 16.7%는 준비 중이라고 답했다. 고용부는 2만4179개에 달하는 50~299인 기업을 전수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했다.
하지만 중소기업계에선 “고용부의 실태조사 결과를 신뢰하기 힘들다”는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당장 전수조사라는 주장에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한 협동조합 이사장은 “회원사 사장 가운데 조사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이가 많다”며 “요즘 중소기업 사장들은 현장 목소리가 정책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아예 관련 의견을 표출하는 것조차 꺼리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고용부는 조사 대상의 60.8%인 1만4699개 기업이 응답했으며, 나머지는 설문에 응하지 않거나 전화 연결이 되지 않았다고 했다.
주 52시간제를 관리·감독하는 근로감독관이 소속된 고용부가 조사를 맡았다는 점도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준수할 수 없다고 응답하면 해당 기업이 요주의 대상으로 분류돼 집중 조사받을 것으로 우려한 중소기업들이 “준수 가능”이라고 답하거나 아예 조사에 불응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소기업계의 설명이다.
앞서 11월 초 발표된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와의 간극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 실태조사에서는 주 52시간제를 적용할 준비가 안 된 기업 비중이 3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의 9%와 비교하면 네 배를 넘는다. 현재 근로시간이 주 52시간을 초과해 근로시간 단축이 필요한 업체만을 대상으로 통계를 산출하면 이 비율은 84%까지 올라간다.
주 52시간제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제조업 조사 비중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 조사 대상 500개 기업 중 제조업체는 350개였다. 고용부 조사에선 제조업 비중이 31.9%에 불과했다. 중기중앙회가 ‘준비 중이며 연말까지 완료 가능하다’는 응답을 ‘준비 완료’에 포함시키지 않은 것과 달리 고용부는 현재 준비 완료 여부와 상관없이 내년 준수 가능 여부를 물은 것도 차이점으로 거론된다.
정부가 50~299인 사업장에 대해 내년부터 주52시간제 적용을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했다.90%가 넘는 기업들이 이미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조사됐다는 점이 주요 근거 중 하나로 꼽혔다. 하지만 실태조사 결과를 두고 중소기업계에선 중소기업중앙회의 조사와 간극이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기중앙회 자체조사에선 84%가 주52시간제에 준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50~299인 노동시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업의 91.1%가 내년 주52시간제 적용을 준수할 수 있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81%는 이미 주52시간제는 준수하고 있었고, 10%는 연말까지 준비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됐다. 고용부는 지난 6~8월 약 2만4000개에 달하는 50~299인 기업을 전수조사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60.8%의 응답률을 고려하면 약 1만4592개의 기업이 응답한 것이다.고용부는 지난해 11월 조사에 비해 주52시간제 준수 가능 기업이 대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준비 미완료 기업이 42.3%에서 19.0%로 줄었고, 준수 불가 전망 기업도 16.7%에서 8.9%로 감소했다는 것이다.하지만 이같은 고용부의 실태조사 결과는 앞서 중기중앙회가 발표한 조사와는 크게 차이가 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중기중앙회는 이달 초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중소기업 의견조사'를 통해 중기의 39%가 주52시간제에 준비돼있지 않다고 발표했다. 현재 근로시간이 주52시간을 초과해 근로시간 단축이 필요한 업체만을 대상으로 통계를 산출하면 이 비율이 84%까지 올라간다고 덧붙였다. 중기중앙회는 이 조사를 통해 추가 채용에 따른 비용 부담, 코로나19로 인한 경영악화 등 때문에 준비가 어려우며, 계도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이같은 오차가 발생한 것에 대해 고용부는 조사 방식과 대상, 자료 해석 전반에 걸친 인식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고용부가 전수조사를 한 것과 달리 중기중앙회는 500곳의 기업만 표본 조사해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고용부가 '준비 중이나 연말까지 완료 가능'하다는 응답을 '준비 완료'로 분류한 반면, 중기중앙회는 이를 준비가 안된 것으로 분류했다는 점도 차이를 발생시킨 원인으로 꼽힌다.주52시간 대비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제조업 비중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는 조사 대상 중 70%가 제조업 기업이었다. 반면, 고용부 조사에선 제조업 비중이 절반 이하인 32%에 불과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제조업 기업만 놓고 봤을 때는 준수 불가 기업 비중이 14.0%까지 증가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고용부는 유연근로제 등 제도 개선을 일부 진행하면 중소기업계의 어려움이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기중앙회 조사에서도 6개월 탄력근로제 도입 시 어려움이 대부분 해소된다거나(46%), 일부 해소된다(34%)는 의견이 80%였다"며 "노사정 합의 내용이 반영된 탄력근로제 법안 처리를 국회에 요청드린다"고 말했다.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국내 중소기업의 경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다시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중소기업 3150곳을 대상으로 ‘12월 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경기전망지수(SBHI)가 72.0으로 전월 대비 2.0포인트, 전년 동월보다는 12.2포인트 하락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9월 이후 두 달간의 상승세가 다시 꺾인 것이다. 지수가 100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더 많다는 뜻이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제조업 전망지수는 78.4로 전월 대비 2.6포인트, 비제조업은 68.7로 전월 대비 1.7포인트 하락했다. 업종별로 제조업에서는 고무 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이 82.1에서 70.5로, 목재 및 나무 제품이 84.2에서 72.8로 떨어져 하락폭이 컸다. 이어 비금속광물제품이 85.4에서 75.5로 내려가는 등 14개 업종에서 하락했다.반면 1차금속(79.9→85.4), 가죽가방 및 신발(54.0→56.8), 기타 기계 및 장비(77.8→80.0) 등 8개 업종은 상승했다. 비제조업에서는 서비스업이 69.8에서 67.4로 하락했고, 건설업이 73.2에서 75.0으로 소폭 상승했다.12월 지수를 최근 3년간 같은 달 평균치 지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선 경기 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자금 사정, 원자재 전망 모두 악화됐다. 비제조업 역시 수출과 고용 전망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악화될 것으로 조사됐다.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중소기업중앙회가 대기업과 함께 추진 중인 대·중소기업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으로 평균 생산성이 20% 증가하고 품질은 30%가량 개선됐으며, 원가는 15% 절감된 것으로 조사됐다.중기중앙회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 486곳을 대상으로 최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얻은 성과를 조사(복수 응답)한 결과 ‘작업환경 개선’이 53.7%로 가장 높았고 ‘생산성 증가’(40.9%), ‘품질 개선’(31.7%), ‘원가 절감’(26.5%) 순으로 나타났다.전체적으로 응답 기업의 86.4%가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만족하고 있다고 답변했다.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