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수가 갑자기 확산세로 돌아서면서 각종 음모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린 정부가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를 조절하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왔다. 이에 대해 방역당국은 환자 수를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1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방역당국 검사 결과는 조작 불가능하고 누군가를 차별할 수 없다”며 “진단검사 신뢰를 훼손시키는 거짓정보를 만들고 검사를 고의로 지연시키거나 격리 이탈하는 행위는 국민 모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했다.
방역당국이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은 사랑제일교회 신도 등을 중심으로 코로나19 검사에 대한 각종 소문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성북구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으면 무조건 양성이 나오니 검사받지 말고, 받더라도 민간병원에서 받으라”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에 대해 방역당국은 불가능한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성북구보건소 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환자가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으면서 음성으로 바뀐 것이 오해를 낳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상원 방대본 진단분석총괄팀장은 “지난 14일 양성 판정을 받아 의료기관에 입원한 후 16일 음성으로 바뀐 것”이라며 “회복기에 있거나 바이러스 검출량이 적은 사람은 2~3일 만에 음성으로 바뀌는 사례가 있다”고 했다. 코로나19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보인 것이라는 설명이다.
방역당국은 특정한 검사자의 검체를 일부러 오염시키거나 확진자 숫자를 의도적으로 늘리는 일도 있을 수 없다고 했다. 이 팀장은 “진단검사 결과에 대한 조작은 가능하지 않고 그럴 이유도 없다”며 “전국 600여 개 선별진료소가 운영되고 있는데 이 중 상당수는 민간 의료기관”이라고 했다. 의사들이 양심에 따라 환자를 진료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 수를 조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선별진료소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의료진과 채취한 검체를 분석하는 의료진은 다르다. 기계를 통한 검사의 모든 과정은 RT-PCR 기기에 실시간으로 기록된다. 검사 결과를 조작하기 어려운 이유다.
일각에서는 15일 광화문 집회가 끝난 뒤 잠복기가 지나지 않았는데 확진자가 나왔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는 평균 잠복기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오해다. 코로나19의 평균 잠복기는 5일 정도지만 접촉한 바로 다음날부터 14일 이후까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선별검사의 특성상 무증상 상태에서 확진되는 환자도 비교적 많다.
오사카 신규 확진자 도쿄보다 많아19일 일본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는 오후 8시 30분까지 1천70명이 새로 보고됐다고 현지 공영방송 NHK가 보도했다.일본의 하루 신규 확진자는 16일 1천20명, 17일 647명, 18일 919명이었으며 사흘 만에 1천명을 넘었다.누적 확진자는 5만9천559명을 기록했다.사망자는 11명 늘어 1천159명이 됐다.이날 서일본 경제의 중심지인 오사카부(大阪府)에서 새로 보고된 확진자는 187명으로 수도 도쿄도(東京都)의 신규 확진자(186명)보다 많았다.교도통신에 따르면 다테다 가즈히로(館田一博) 일본감염증학회 이사장은 이날 도쿄에서 열린 학술강연회에서 일본의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관해 "지금 정말로 제2파(波)의 한 가운데 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수백만 명이 더 목숨을 잃을 수 있다.”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 빌&멀린다게이츠재단 공동이사장(사진)은 18일(현지시간) 공개된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코로나19 사태는 내년 말에야 비로소 종식될 것”이라며 “백신이 대량 생산되고 세계 인구 대부분이 접종하면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게이츠 이사장은 개발도상국의 코로나19 피해가 클 것으로 전망했다. 개도국 사망자의 90%가 바이러스 감염 자체보다는 취약한 의료 시스템과 경제 등 간접적 원인으로 발생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코로나19 봉쇄령이 내려지면 다른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지고, 의약품을 구하기 어렵게 되면서 말라리아나 에이즈 바이러스(HIV)로 인한 사망자가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그는 부유한 국가들이 빈곤국을 위해 백신을 구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부유한 국가가 백신 생산에 필요한 고정비용을 충당할 만한 가격을 책정해 구매하면 빈곤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백신을 유통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세계 공중 보건 문제에 앞장서 온 미국의 역할을 강조하며 미국의 코로나19 대응책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 인구의 30~60%가 항체를 형성하면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수백만 명이 더 목숨을 잃을 수 있다."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 빌&멀린다게이츠재단 공동이사장(사진)은 18일(현지시간) 공개된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코로나19 사태는 내년 말에야 비로소 종식될 것"이라며 "코로나19 백신이 대량 생산되고 세계 인구 대부분이 접종하면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개발도상국의 코로나19 피해가 클 것으로 전망했다. 개도국 사망자의 90%가 바이러스 감염 자체보다는 취약한 의료 시스템과 경제 등 간접적 원인으로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코로나19 봉쇄령이 내려지면 다른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지고, 의약품을 구하기 어렵게 되면서 말라리아나 에이즈 바이러스(HIV)로 인한 사망자가 급증할 수 있다는 얘기다.게이츠 이사장은 부유한 국가들이 빈곤국을 위해 백신을 구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부유한 국가가 백신 생산에 필요한 고정비용을 충당할만한 가격을 책정해 구매하면 빈곤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백신을 유통할 수 있게 된다는 주장이다. 또 세계 공중 보건 문제에 앞장서 온 미국의 역할을 강조하며 미국의 코로나19 대응책이 교착상태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 인구의 30~60%가 항체를 형성하면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세계 각국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전력을 쏟고 있다. 독일 정부의 백신담당기관인 파울에를리히연구소(PEI)는 이날 풍케미디어그룹과의 인터뷰에서 내년 초에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될 전망이라고 했다. 클라우스 치후테크 PEI 소장은 "백신 후보물질의 1상과 2상 임상시험에서 일부 후보물질이 면역 반응을 유발했다"며 "3상 임상시험에서 백신이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판명되면 첫 백신이 조건부로 내년 초 승인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중국 국유 제약회사 시노팜은 올해 말 코로나19 백신을 출시할 계획이다. 류징전 시노팜 당 서기 겸회장은 광명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아랍에미리트(UAE)에서 3상 임상시험이 끝나면 출시를 위한 심사 및 허가 단계에 들어갈 것"이라며 "올해 12월 말에 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가격은 2차례 접종에 17만원 이내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