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성 없는 시설공단의 관리 한계…타 기념관은 지자체 전폭 지원
전문학예사 한명 없는 부산광복기념관…운영 부실 불가피
부산의 독립투쟁 역사를 알리고자 부산시가 건립한 부산광복기념관이 부실한 지원 탓에 운영에 난항을 겪고 있다.

2000년 개관한 부산광복기념관은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전 일본 침략과 그에 항거한 독립투쟁의 역사적 유물을 전시한 곳이다.

기념관 관리와 운영은 부산시설공단이 맡고 있다.

예산 역시 부산시가 부산시설공단에 주는 예산 일부를 받고 있다.

하지만 독립운동과 광복의 의미를 대중에게 알린다는 기념관 취지와 달리 전문성이 떨어지는 시 산하기관 관리를 받다 보니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주로 부산시 소유 건물 관리를 담당하는 부산시설공단은 기념관 프로그램 운영, 기획 전시 등 사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일례로 광복기념관에는 유물 등 전시물을 전문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는 전문 학예사가 한 명도 없다.

부산광복기념관 관계자는 "독립 기념사업을 기획해 대중에게 알리고 싶어도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한계가 있다"며 "학예사가 없는 지자체 산하 독립운동 기념관은 부산시가 거의 유일하다"고 말했다.

반면 타 지역 독립운동기념관의 경우 부산시와 달리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며 예산을 지원한다.

대표적으로 경북 안동에 있는 경북독립운동기념관은 전시는 물론 다양한 체험학습이 가능하도록 꾸며놨다.

신흥무관학교 체험장 등을 통해 시민이 보고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고, 공무원과 교직원 직무 연수를 비롯해 일반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이처럼 전문 학예사 고용을 비롯해 활발하게 기념관을 운영할 수 있었던 것은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예산 지원 덕이다.

부산광복기념관은 뒤늦게나마 인력 충원과 부산항일독립기념 공원 건립을 부산시에 요청해 독립운동 역사를 대중화하는 데 힘쓰고 있지만, 이 역시 지자체 지원 없이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광복기념관 관계자는 "일본이 대륙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 삼은 부산은 곳곳에서 크고 작은 독립운동이 일어나는 등 독립 투쟁의 역사가 서린 곳"이라며 "시민에게 광복의 역사를 알리기 위해선 지자체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에 부산시 관계자는 "전시품을 설명하는 문화 해설사를 추가로 배치하는 등 노력을 다하고 있다"면서 "기념관 규모가 작다 보니 예산 지원이 충분치 못할 수 있는데 부족한 부분은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