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중심도시→스마트 혁신도시 탈바꿈 목표
특례시 지정되면 재정 여력 늘어 현안사업·주민복지 예산 증가

[통합 창원시 10년] ② 대도약·대혁신 현실화한다
통합 창원시는 경제위축, 인구 감소에도 여전히 국내 손꼽히는 경쟁력을 가진 도시다.

그러나 뭔가 하지 않으면 미국 '러스트 벨트'(rust belt·제조업 쇠퇴로 침체한 5대호 주변 도시)처럼 낡고 녹슨 도시가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시민 사이에 커져만 간다.

창원시는 통합 10주년인 2020년 시정목표를 '대도약과 대혁신의 해'로 정했다.

경제·인구 하락세를 올해 반드시 반전 시켜 다시 '빛나는 땅' 창원(昌原)의 부흥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제조업 중심 산업도시에서 스마트 혁신도시로 탈바꿈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창원시는 어려운 여건에서도 수년간 꾸준히 추진한 주력산업 혁신과 신산업 육성 효과가 곧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2018년 7월 취임한 허성무 창원시장은 "지난 2년은 혁신을 통해 창원시가 경쟁력과 성장 모멘텀을 키우는 기간이었다"고 평가했다.

창원국가산업단지 '스마트 선도 산단' 지정,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방위산업혁신클러스터 지정, 수소 에너지 생태계 구축 등을 통한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와 신산업 기반 구축은 현재 진행형이다.

스마트 혁신을 선도할 스마트 공장 보급, 수소에너지 산업 전환 속도가 전국에서 가장 빠른 곳 중의 하나가 창원시다.

지난 5월 한국기계연구원 소속 재료연구소의 재료연구원 승격 법안 통과는 창원시가 세계적인 소재부품 산업 도시로 발돋움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통합 창원시 10년] ② 대도약·대혁신 현실화한다
옛 육군대학 부지인 진해 여좌동 연구자유지역에는 제2재료연구원이 들어온다.

창원시는 또 항만·물류라는 새로운 성장엔진을 가지게 된다.

해양수산부, 경남도, 부산시는 지난해 5월 창원시 진해구 제덕만 일대에 컨테이너 부두 21개 선석을 갖춘 제2신항을 2040년까지 건설하는 협약을 했다.

부산시와 창원시 진해구에 걸쳐 건설된 신항과 달리 제2신항은 100% 창원시 진해구 행정구역 내에 있다.

창원시는 324㎞나 되는 긴 해안을 가지고도 그동안 항만 분야에서 별다른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했다.

제2신항은 창원시를 세계적인 항만도시로 탈바꿈시킬 절호의 기회다.

한철수 창원상공회의소 회장은 "대규모 장치산업을 바탕으로 창원시는 괄목할 성장을 이뤄냈지만, 이제는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소재와 제조업 공정기술로 세계를 선도하고, 노사, 대·중소기업이 함께 어울려 경제 선순환을 만들어내는 도시, 신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를 계속해서 꿈꿀 수 있는 도시, 이를 통해 젊은이들이 찾아드는 기회의 도시가 창원시의 미래상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합 창원시 10년] ② 대도약·대혁신 현실화한다
특례시 법안 통과는 창원시 대도약을 행정적으로 지원한다.

창원시는 100만 대도시임에도 기초지자체라는 틀에 묶여 있다.

인구 3만명에도 못 미치는 의령군과 같은 권한밖에 행사할 수 없는 처지다.

덩치와 비교해 너무 작은 옷을 입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특례시는 기초지자체 지위를 유지하면서 광역시급 행·재정적 권한을 가진 새로운 형태의 지방자치단체 유형이다.

광역시 승격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나온 대안이 특례시다.

2017년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특례시 도입을 공약했다.

정부는 2018년 3월 경기도 수원시·용인시·고양시 등 인구 100만 이상 전국 4개 대도시에 특례시 지위를 부여하는 내용 등을 담은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그러나 특례시 법안은 20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창원시는 올해 안에 특례시 법안이 반드시 처리되길 기대한다.

특례시가 되면 경남도를 거치지 않고 중앙정부와 직접 교섭이 가능해진다.

또 국세·지방세 비율 조정으로 지방소비세, 지방소득세 등이 늘어나 가용재원이 증가하면서 현안 사업이나 주민복지에 더 많은 예산 투입이 가능해진다.

통합 10주년을 자축하고 새로운 10년을 준비하는데 '창원 특례시' 만한 선물이 없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