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추 킴스트래블 대표 "마이스 참가자 수보다 質 보고 지원해야"
“경제적 파급효과를 높이려면 외국인 참가자 숫자보다 참가자 한 명의 씀씀이가 얼마나 큰가를 따져봐야 합니다.”

김춘추 신임 한국마이스협회 회장(64·사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행사 유치 중심의 마이스(MICE: 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산업 구조와 육성 정책의 한계가 명확해졌다”고 진단했다. 자생력이 약하다 보니 한 번의 충격파에도 산업 전체가 흔들리고, 피해 지원 기준도 현실과 거리가 있다는 점을 새삼 일깨워줬다는 설명이다. 지난 17일 한국마이스협회 9대 회장에 취임한 그는 “방한 단체와 행사에 참여하는 외국인 숫자의 허울보다는 질적인 가치 기준으로 하루빨리 전환해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를 새롭게 열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방한 포상관광단체, 국제회의 지원은 외국인 참가자 규모가 기준이다. 인원 수에 따라 지원하는 예산이 적게는 수백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에 이른다. 1000명 단위 대형 단체에는 기념행사부터 만찬, 기념품, 관광 등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진다. 하지만 수십 명 단위 작은 단체나 행사는 수억원을 쓰고 가도 지원이 없거나 적은 ‘푸대접’이 일쑤다. ‘사람 수 기준’을 맞추지 못한 까닭이다. 피해 지원 대상을 선별할 때도 이런 기준이 적용되기는 마찬가지다. 김 회장은 “이렇게 숫자에만 초점이 맞춘 지원제도는 지원금만 노리는 ‘먹튀’ 단체와 행사를 양산하는 부작용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규모는 물론 방문 지역, 일정 등 세부 프로그램, 지출 규모와 재방문 가능성 등을 ‘입체적으로’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외형은 작아도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알짜 단체와 국제행사를 유치하는 쪽으로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가장 우선적인 코로나19 지원책으로 ‘내수 활성화’를 꼽았다. 해외 고객을 유치하기 어렵다면 눈을 안으로 돌려야 한다는 것. 김 회장은 “대기업과 다국적 기업이 국내에서 행사를 열 경우 세제 지원 등 혜택을 줄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제회의와 전시로 국한된 관련 법제도를 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바꾸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1996년 제정된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과 2008년 제정한 ‘전시산업 발전법’은 전시·컨벤션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현실과는 괴리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 회장은 “마이스 전체를 아우르는 ‘비즈니스 이벤트&트래블’로 법제도의 개념·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 학계와 함께 머리를 맞대겠다”고 말했다.

그는 1979년 한진관광에 입사해 43년간 관광·마이스 분야에서 활동했다. 1989년 다니던 회사(세계항공)가 부도나자 직접 회사를 인수해 마이스 전문 여행사인 킴스트래블을 설립했다. 김 회장은 200여 개 회원사로 구성된 협회를 앞으로 3년간 이끈다.

이선우 기자 seonwoo.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