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본부장 "느슨해지면 중환자 늘어나고 위기 봉착 가능성 있어"
전문가 "수도권 연쇄 감염 심상치 않다…행정력 발동해서라도 집회 막아야"

방역당국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3월 말, 4월 초까지는 전국에서 예외 없이 실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진정됐다고 해서 '거리두기' 빗장을 풀어버릴 경우 한 지역이 아닌 전국에서 환자가 대규모로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6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리 브리핑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역별로 차등적으로 권고하는 방안은 어떤가'라는 질문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금 상황에서 그만두거나 느슨하게 권고하면 우리가 교회나 PC방, 노래방 등에서 경험하고 있는 집단감염 사례가 훨씬 더 많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감염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고위험군에서 중증·위중 환자가 늘어나면 현재도 중환자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의료계가 큰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며 "유행이 통제될 때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더 강력하게 실천해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거리두기 실천이 최소한 3월 말, 4월 초까지는 유지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월 21일 감염병 위기경보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하고, 29일부터 본격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조했다.

가급적 자택에 머물며 최대한 외출과 이동을 자제하고 사람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해달라고 당부했고, 특히 닫힌 공간에서 진행되는 종교행사는 가급적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여기에다 전국 유치원과 학교의 개학을 3주 연기하면서 아동·청소년의 이동까지 최소화했다.

이후 신천지교회발 집단감염이 정리 수순으로 들어갔고, 일일 신규 확진자도 점점 줄어 지난 이틀간 100명 이하로 유지되는 등 확산세는 진정됐다.

정부는 지난 2∼3주간 전국에서 자발적으로 이뤄진 사회적 거리두기가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거리두기에 따른 피로감과 경제적 손실이 부각되고 있지만 방역당국이 완화 또는 종료를 검토하지 않는 이유는 코로나19의 특징 때문이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소규모 집단감염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데, 성남 은혜의강 교회, 부천 생명수 교회 집단감염의 경우 예배를 함께 본 교인의 30∼40%가 감염됐다.

1명의 감염자가 교회 등 밀폐된 공간에서 수십명을 감염시킬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 이상, 거리두기를 완화하거나 지역별로 달리 권고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것이 당국의 판단이다.

이날 0시 기준으로 국내 누적 확진자는 8천236명이며, 이 중 80.7%는 집단감염 사례다.

감염경로가 미궁에 빠진 환자보다 그렇지 않은 환자가 훨씬 많다.

거리두기를 좀 더 끌고 가 감염의 고리를 끊어버린다면 장기전에 돌입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당국은 보고 있다.

정 본부장은 "위험 정도에 따라서 달리 적용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지만, 급속한 확산을 막으려면 아직은 사회 전반적인 노력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감염병 관련법을 통해 집회 금지를 강제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예방 차원에서 집회를 못 하게 하는 조항이 있지만, 어느 수준으로 어느 기간에 적용할지에 대해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협의를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연쇄적인 소규모 집단감염을 주시하고 있는 의료계에서는 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봉쇄와 같은 반인권적 조치를 하지 않되, 위기단계 심각 국면에서는 특단의 대책으로 집회를 제한해야 한다"면서 "수도권에서 대구·경북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가장 두려운 시나리오인데,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면 의료시스템은 붕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대구, 경북은 큰 고비를 넘겼지만 끝난 것이 아니다"며 "정부가 책임을 갖고 행정권을 발동해서라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