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 연기 길어져 교육공무직·방과 후 강사 등 생계 위협
감염 우려·방역 준비 부족으로 개학 엄두 못내
'개학 언제 할 수 있으려나'…교육 현장 곳곳 한숨 소리(종합)
정부가 유치원, 초·중·고교 추가 개학 연기를 검토하는 가운데 교육 현장의 고민은 날로 깊어지고 있다.

수업 손실, 생활 지도 공백 등 학생·학부모의 직접적 피해는 차치하더라도 개학 연기 기간이 길어지면서 비정규 강사, 직원 등의 생계도 위협받게 돼 교육 당국은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방학 중에 근무하지 않는 교육공무직원의 연 임금 총액은 유지하고, 일부 수당을 미리 지급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들은 통상 학기가 시작되는 매년 3월 2일부터 출근했지만, 개학이 미뤄지면서 임금 감소가 우려됐다.

시교육청은 맞춤형 복지비를 경력별로 51만∼80만원 지급하고 정기 상여금 90만원 중 45만원을 이달 중 앞당겨 지급한다.

특히 방학 중 비근무자는 이번 주 중 준비 기간 3일을 출근해 정액 급식비 13만원 전액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했다.

시교육청 소속 전체 교육공무직원 4천407명 중 방학에 근무하지 않는 인원은 조리사, 조리원, 과학실무사 등 6개 직종, 1천912명이다.

당장 수입이 끊긴 방과 후 강사들의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혁제 전남도의회 의원은 최근 임시회 상임위원회(교육위원회) 회의에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방과후 수업 결손으로 생계형 방과 후 강사들이 경제적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며 "방과 후 수업이 수익자 부담을 원칙으로 진행된다는 이유로 나 몰라라 하는 것은 너무 잔인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방과 후 강사, 150여명 시간제 교사뿐 아니라 수업 결손으로 수당을 받지 못하는 학교 내 비정규직을 전수조사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전남 819개교에서는 6천916명 외부 강사가 13만여명 학생을 대상으로 방과 후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예산 규모는 교육청 200억원, 수익자 부담 등 400억원을 합한 600억원 정도 규모라고 이 의원은 전했다.

그러나 코로나19 감염·확산 방지를 정책 최우선에 둬야 하는 실정을 고려하면 개학을 섣불리 결정할 문제는 아니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개학 언제 할 수 있으려나'…교육 현장 곳곳 한숨 소리(종합)
더욱이 일선 학교의 방역 대책 마련에도 상당한 시일이 필요해 보인다.

광주시교육청은 열 화상 카메라 구매비, 마스크·손 소독제·체온계 등 방역물품 구매비로 각각 약 11억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았다.

열화상 카메라는 학생 600명당 1대, 1천500명 이상 2대 기준으로 130여대가 보급될 예정이다.

다수 소규모 학교들은 사용할 수 없다.

공급이 여의치 않은 마스크도 교육청 단위 일괄 구매는 물론 학교별 구매도 쉽지 않아 보인다.

광주시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들에 예산을 배분할지 등 집행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며 "교육부의 개학 시기 결정 추이를 지켜보면서 최대한 빠른 속도로 방역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