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건강검진 2천800만명 건강검진 분석결과

비만한 사람은 돌연사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인 '비후성 심근증' 발생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후성 심근증은 특별한 원인 없이 심장의 근육이 크고 두꺼워지는 심장질환이다.

인구 500명당 1명꼴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심근증으로, 부정맥에 의한 돌연사와 운동 시 호흡곤란, 말기 심부전으로의 악화, 심근허혈로 인한 흉통이나 실신, 뇌졸중 등 치명적 합병증을 유발한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연구팀(김형관, 박준빈 교수)은 2009∼2014년 건강검진을 받은 2천800만명 중 비후성 심근증이 발병한 7천851명을 분석한 결과, 비만이 비후성 심근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예방심장학회지'(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최근호에 발표했다.

"돌연사 주범 '비후성 심근증'…비만하면 2.2배 더 위험"
연구팀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아시아인 체질량지수(BMI) 기준에 따라 환자 7천851명을 저체중(118명), 표준체중(1천782명), 과체중(2천29명), 경도비만(3천435명), 중등도 이상 비만(487명)으로 나눠 비만이 비후성 심근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그 결과 과체중, 경도비만, 중등도 이상 비만은 표준체중보다 비후성 심근증 발생위험이 각각 1.5배, 2.2배, 2.9배 높았다.

또 체질량지수가 1씩 증가함에 따라 비후성 심근증 발생위험은 11% 증가하는 연관성을 보였다.

이런 경향은 복부비만 정도를 보여주는 허리둘레에서도 유사했다.

허리둘레가 90㎝(여성 85㎝) 이상인 4천848명은 그렇지 않은 3천3명보다 비후성 심근증 발현 위험이 1.7배 높았다.

이 연구에서는 비만 외에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으로 대표되는 대사이상질환도 비후성 심근증 발현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타고나는 유전자와 달리 비만과 대사이상은 충분히 개선이 가능한 영역"이라며 "비만과 대사이상을 조절해 비후성 심근증 발현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이 추가로 밝혀진다면, 진료가 질환의 선제적 예방을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