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조선업 등 산업 구조조정 마무리 단계 영향"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경남 거제와 통영, 전북 군산의 작년 하반기 고용 사정이 다소 나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5일 공개한 '2019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별 주요 고용지표 집계 결과'를 보면 작년 하반기(이하 10월 기준) 거제의 고용률은 61.9%였다.

이는 2018년 하반기(59.1%)보다 2.8%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작년 상반기(61.1%)보다는 0.8%포인트 올랐다.

작년 하반기 거제의 실업률은 4.7%로 2018년 하반기(7.1%)보다 2.4%포인트 떨어졌다.

작년 상반기(6.7%)보다는 2.0%포인트 하락했다.

거제는 2017년 하반기부터 2019년 상반기까지 6% 후반∼7% 초반의 실업률로 전국의 시 지역 가운데 줄곧 실업률 1위였다가 이번에 순위권에서 벗어났다.

이웃 통영시의 고용률과 실업률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작년 하반기 통영의 고용률은 57.0%로 2018년 하반기(56.8%)와 작년 상반기(56.7%)보다 올라갔다.

작년 하반기 실업률은 5.0%로 2018년 하반기(6.0%), 작년 상반기(5.9%)에 이어 하락세를 이어갔다.

통영 역시 2017년 하반기부터 2019년 상반기까지 5%대 후반∼6% 초반의 실업률로 전국의 시 지역을 통틀어 실업률 2위였다가 이번에 4위로 내려갔다.

거제와 통영의 기반 산업인 조선업이 회복세를 보인 것이 고용 지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부문의 취업자 수가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하는 등 조선업 구조조정이 마무리돼가는 모습"이라며 "그 영향으로 선박을 중심으로 실업률이 높았던 거제·통영에서 실업률 하락폭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고용위기지역 일자리 온기…거제·통영·군산 실업률↓ 고용률↑

조선과 자동차가 주력 산업인 군산은 작년 하반기 고용률이 55.6%로 2018년 하반기(53.1%)보다 2.5%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상반기(54.4%)보다는 1.2%포인트 올랐다.

군산의 실업률은 2018년 하반기 3.2%에서 작년 상반기 3.5%로 올랐으나, 작년 하반기에는 2.2%로 하락 전환했다.

정 과장은 "군산시는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2018년 하반기 고용률이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고용률이 상승하는 전국 추세를 따라 2019년 하반기 고용률은 개선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용률이 상승하고 실업률이 하락한 현상은 통영, 거제, 군산 외에 고용위기지역으로 선정된 전남 목포, 영암, 경남 창원 등에서도 두루 공통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고용위기지역 일자리 온기…거제·통영·군산 실업률↓ 고용률↑
작년 하반기 실업률은 시 지역에서는 경기 안양(5.3%), 동두천(5.3%), 광명(5.2%) 등에서 높았다.

군 지역에서는 경북 칠곡(3.8%), 전북 완주(3.2%), 경남 고성(2.9%) 등에서 높았다.

실업률 '톱3'에 오른 안양·동두천·광명은 제조업·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의 비중이 약 40%에 달하는 곳들로, 지난해 제조업·도소매업 업황 부진이 이어진 영향으로 실업률이 상승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동두천은 미군 기지 폐쇄로 취업자가 감소한 점도 실업률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고용률은 시 지역에서 제주 서귀포(71.7%), 충남 당진(70.7%), 경북 영천(69.0%) 등이 높았고, 경기 동두천(53.2%), 과천(53.6%), 남양주(55.0%) 등에서 낮았다.

군 지역은 경북 울릉(85.2%), 충남 청양(77.4%), 전남 신안(77.4%) 등이 높고, 경남 함안(60.0%), 충북 영동(60.5%), 전북 완주(61.3%) 등에서 낮았다.

작년 하반기 시 지역 고용률은 60.5%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상승했고, 군 지역 고용률은 0.8%포인트 오른 67.3%였다.

군 지역의 농림어업 비중이 커서 고령층·여성의 취업이 도시 지역보다 활발하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발생한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시 지역 실업률은 3.2%로 2018년 하반기보다 0.3%포인트 하락했고, 군 지역 실업률은 0.1%포인트 하락한 1.3%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 8개 특별·광역시를 제외한 9개 도의 154개 시·군을 대상으로 주요 고용지표를 집계한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