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2세 이전 영유아들이 스마트폰 등 미디어에 과다 노출될 경우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30일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구 교수 연구팀은 2013~2019년 사회성 발달 지연으로 치료받은 영유아 96명과 발달 지연이 없는 대조군 1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해당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소아 건강 분야 국제학술지(Global Pediatric Health) 최근호에 발표했다.분석 결과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만 2세 이전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이 95.8%에 달했지만, 대조군은 59.4%에 그쳤다. 평균 미디어 시청 시간이 2시간 이상인 비율도 사회성 발달 지연 군에서는 63.6%, 대조군에서는 18.8%였다.아이에게 미디어를 시청하도록 한 이유로는 '부모의 우울·건강문제·맞벌이'(사회성 발달 지연 군 55%, 대조군 41.3%), '아이 달래기'(사회성 발달 지연 군 26.5%, 대조군 7.4%) 등이었다.미디어 노출이 아동 신경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논란이 있지만, 미국 소아과학회(AAP)에서는 2세 이전 미디어 노출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실제 뇌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한 관찰연구에서는 영유아의 미디어 노출이 인지과정보다 단순히 시각피질만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람과의 상호작용은 뇌 발달을 훨씬 더 활성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연구팀은 "미디어의 일방향성으로 인해 뇌 발달 민감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면서 "영유아가 미디어를 시청하더라도 보호자와 함께 상호교류 속에 제한된 시간만 교육적인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하면 사회성 발달 지연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유채영 한경닷컴
서울 용산경찰서는 30일 자신이 거주하는 집 앞에서 남의 차량에 불을 지른 혐의로 A(31)씨를 구속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28일 오전 3시16분께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주택가 골목에 주차된 그랜저 승용차 아래에 신문지를 넣고 라이터로 불을 지른 혐의(현주건조물방화)를 받는다. 서울서부지법 정인재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A씨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을 하고 "증거인멸과 도망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A씨는 범행 직후 자신의 집에 돌아갔다가 도주했다. 경찰은 동선을 추적해 당일 오후 5시30분께 서울 성동구 성수동 길거리를 배회하던 A씨를 검거했다. A씨의 방화로 그랜저가 전소되고 옆에 주차된 다른 차량과 건물 벽에 불이 옮겨붙었으나 인명피해는 없었다. 경찰 관계자는 "정신건강이 좋지 않아 범행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22년 기준 0세 117만원·5세 52만원…매년 물가 반영해 보정장애아동 표준보육비용 174만원…첫 공개 정부가 보육료 지원의 기준으로 삼는 표준보육비용이 2019년에 비해 21%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3년마다 표준보육비용을 조사하되, 인건비 및 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매년 표준보육비용을 발표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30일 제2차 중앙보육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합리적인 무상보육 비용 지원을 위한 '2022년 표준보육비용'을 결정했다. 표준보육비용은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에게 일정 수준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의미하며 인건비·급간식비·교재교구비·관리운영비 등이 포함된다. 정부는 표준보육비용을 어린이집 보육료를 포함해 어린이집에 지원되는 무상 보육비용 산정의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동안 표준보육비용은 비정기적인 연구용역 형태로 조사돼왔으나 2019년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이 3년마다 표준보육비용을 조사하고 중앙보육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하도록 함에 따라 2022년 4∼12월 처음으로 법정 조사가 이뤄졌다. 이에 따른 2022년 정원 50인 기준 어린이집 표준보육비용은 0∼5세 평균 76만2천원으로, 지난 2019년의 62만8천원 대비 21.3%가 늘었다. 연령별로는 0세반 116만7천원, 1세반 85만6천원, 2세반 70만3천원, 3세반 56만2천원, 4∼5세반 52만2천원이다. 연령별 차이는 보육교사 1인당 아동 수, 발달단계별 교재·교구비, 식사량에 따른 급간식비 등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2019년 대비 증가율은 0세반부터 4∼5세반까지 각각 14.7%, 19.9%, 21.2%, 30.1%, 31.8%로 연령이 올라갈수록 증가폭이 컸다. 그럼에도 2025년 유보통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