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만명 돌파 기대했으나 104만명으로 줄어, 감소 추세 고착화 '심각'
통합 10년 창원시 인구 9년째 감소세…'마지노선'도 무너져
인구 100만명이 넘는 광역시급 기초지자체 경남 창원시가 올해로 통합 10주년을 맞는다.

그러나 주력산업이 여전히 활력을 잃고 인구가 줄어드는 등 통합 10주년을 마냥 축하할 분위기는 아니다.

통합 창원시는 2010년 7월 1일 창원시·마산시·진해시가 합쳐 출범했다.

통합 첫해인 2010년 12월 기준 외국인을 뺀 주민등록 인구는 109만181명.
수원시 등 수도권 100만 대도시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기초지자체로 등극했다.

당시 통합 시너지 효과로 계속 인구가 늘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나왔다.

100만명이 넘는 인구와 대전·광주광역시보다 많은 지역 내 총생산(GRDP)을 발판으로 광역시 승격까지 추진했다.

그러나 10년이 흐른 지금, 인구 100만명 선을 지키기도 버거운 상황이 됐다.

통합 첫해 반짝 인구가 증가하고 이후 9년째 감소했다.

2019년 12월 기준 창원시 주민등록 인구는 104만4천740명.
허성무 시장이 지난해 4월 간부회의에서 "반드시 지켜야 한다"며 마지노선으로 정한 105만명이 무너졌다.

통합 첫해 109만181명과 비교하면 4만5천441명이나 인구가 줄었다.

심각한 것은 인구 감소 추세가 고착화했다는 점이다.

창원시 인구는 통합 이듬해인 2011년 전년보다 1천700명이 증가했다.

그러나 2012년 410명 감소를 시작으로 매년 3천~8천500여명씩 줄었다.

지난해는 연간 규모로는 가장 큰 8천861명이 감소했다.

통합 10년 창원시 인구 9년째 감소세…'마지노선'도 무너져
창원시는 수도권을 제외한 우리나라 대부분 지자체가 인구가 준다면서도 감소세가 멈추지 않는 현상을 우려했다.

구조적으로도 출생, 전입이 동반 감소하고 고령 인구는 반대로 증가하는 심각한 상황이다.

창원시는 주력산업인 조선·기계공업 등이 여전히 부진해 기존 일자리를 지키는 것조차 힘들고 출산·생산 연령인 20∼30대 젊은 층은 진학, 더 좋은 직장을 찾아 수도권 등으로 이탈해 인구가 준다고 분석했다.

또 출퇴근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아파트값이 더 저렴한 김해시 등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는 것도 인구 감소 원인으로 꼽았다.

창원시는 2017년 인구정책을 전담하는 부서를 신설했다.

2018년부터는 일자리·주거·교육·저출산·고령화 대책을 중심으로 창원형 인구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했지만, 아직 가시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창원시 관계자는 "인구 정책이 금방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서 답답한 측면이 있다"며 "창원형 인구정책을 중장기적으로 꾸준히 추진하면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