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사립 외국어고등학교와 자율형사립고(자사고)들이 정부의 일반고 전환 계획에 반대하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전국 사립 외고 16곳의 법률대리인이 참여한 '전국 외고 연합 변호인단'은 6일 정부세종청사를 찾아 '외고 폐지'에 반대한다는 의견서를 교육부에 제출했다.
모든 외고·국제고·자사고를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는 2025년 한꺼번에 일반고로 바꾸는 내용의 초중등교육법 시행령·규칙 개정안 입법예고가 이날 끝난다.
입법예고는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듣는 절차다.
다만 이 개정안은 정부의 추진 의지가 강해 반대의견이 많다고 철회·수정될 가능성이 극히 낮다.
입법예고 이후에는 법제처 심사와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 결재 절차가 남아있다.
외고 변호인단은 "헌법이 보장하는 교육의 자율성·자주성·전문성을 훼손하고 침해하는 외고 폐지는 위헌"이라면서 특히 "시행령을 개정해 외고를 폐지하는 것은 법률의 상식과 기본을 지키지 않은 전횡"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개인의 창의력과 개성을 존중하는 것이 시대정신"이라면서 "외고가 폐지되면 우수 중학생이 '강남 8학군'으로 몰려 강남지역 집값이 폭등하고 조기유학이 늘어나며 학력이 하향 평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변호인단은 "국가적 감독을 이유로 고교교육과정을 획일화하는 것은 전체주의 국가의 교육관"이라거나 "고교평준화는 일제강점기 황국신민 양성 교육의 잔재"라는 등의 주장도 펼쳤다.
외고 변호인단은 시행령 개정이 완료되면 헌법소원을 청구할 계획이다.
외고에 진학하길 희망하는데 못하게 된 학생 등이 당사자로 참여해 기본권 침해를 주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변호인단은 또 외고·자사고와 과학고 등 일반고가 아닌 고교의 설립근거는 시행령이 아닌 법률에 둬야 한다는 취지로 입법 청원 활동도 벌일 방침이다.
대원외고 법률대리인이자 '대원외고 출신 1호 검사'로 알려진 김윤상 변호사(전 대검찰청 감찰과장)는 취재진과 만나 "헌법은 교육에 관한 것은 법률로 정하도록 '교육법정주의'를 보장하고 있다"면서 "국회 동의 없이 시행령으로 외고를 폐지하는 것은 총선을 앞둔 정치적 의도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서울 광역단위 자사고 20곳 등 자사고들도 교육부에 '자사고 폐지' 반대 의견서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자사고들과 사립 국제고들도 외고와 마찬가지로 시행령 개정 완료 시점에 맞춰 별도 헌법소원을 준비하고 있다.
앞서 전국 자사고·외고·국제고 교장들은 연합회를 꾸리고 공동보조를 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사회정의를 바라는 전국교수모임'(정교모)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문재인 정부의 외고·자사고·국제고 폐지 반대 정책토론회'를 열고 이들 학교 폐지 시도를 중단하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정교모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퇴진 운동을 벌였던 단체로 단체 측은 현재 전국 377개 대학교수 6천100여명이 가입돼 있다고 밝혔다.
자사고·외고·국제고 교장연합회 공동대표인 한만위 강원 민족사관고 교장은 토론회에서 "모든 아이를 한 줄로 새우고 경쟁시키다 보니 잘난 친구들이나 좋은 교육을 받는 친구들을 보면 배 아플 수밖에 없다"면서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해 다양한 줄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한 교장은 "고교학점제는 좋은 제도로 잘 운영되면 자사고에 오려는 학생이 줄어들 것"이라면서 "자사고나 외고를 폐지하려고 하기 전에 학점제가 잘 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달라"고 덧붙였다.
전주대학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 사업에 10년 연속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이 사업은 4월∼11월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해 청소년의 인문학적 소양 증진과 진로 개발을 목적으로 이뤄지는 무료 체험 프로그램이다. 전주대 박물관은 인간 생활의 중요한 부분인 의(衣)·식(食)·주(住)와 관련된 주제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나이별 맞춤 교육도 진행한다. 또 학예연구사가 특수학교, 농어촌지역 및 문화 소외계층을 직접 방문해 '찾아가는 박물관'을 운영하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연계해 박물관 학예연구사 진로 체험도 진행할 예정이다. 박현수 전주대 박물관 학예실장은 "매년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한 결과 도민들에게 무료 체험 교육을 진행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인문학적 가치를 높이는 교육 프로그램에 많은 분이 참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경기도교육청은 다음 달 8일 치러지는 2023년 제1회 초·중·고졸 검정고시에 8천404명이 지원했다고 24일 밝혔다. 초졸 889명, 중졸 1천742명, 고졸 5천773명 등이다. 지난해 1회 검정고시 때 7천533명보다 871명(11.6%) 늘었다. 이들은 수원지역 10개교와 의정부지역 4개교, 자체 시험장 3개 기관, 별도 시험장 1개교 등에서 시험을 치른다. 응시자들은 유의 사항을 확인한 뒤 시험 당일 오전 8시 30분까지 지정된 시험장에 입실해야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는 시험 전날 오후 6시까지 신청서와 동의서를 경기도교육청 평생교육과에 내면 별도 시험장에서 응시할 수 있다. 합격자는 5월 9일 경기도교육청 홈페이지에 발표된다. /연합뉴스
君が責任を取ってやめることはない키미가 세키닝오 톳떼 야메루코토와나이자네가 책임을 지고 그만 둘 필요는 없어 鎌田 : いやいやいやいや。君がやめることはないだろう。카마타 이야이야이야이야 키미가 야메루코토와나이다로-上原 : でも。誰かが責任を取りませんと・・・。우에하라 데모 다레카가 세키닝오토리마센토鎌田 : だからって君が責任を取ってやめることはないんだから。카마타 다카랏떼 키미가 세키닝오톳떼 야메루코토와나인다카라上原 : いえ。それでは他の社員への示しがつきませんので。우에하라 이에 소레데와 호카노 샤잉에노 시메시가츠키마센노데 카마타 : 아니야, 아니야. 자네가 그만둘 필요는 없을 거야.우에하라 : 하지만. 누군가가 책임을 지지 않으면...카마타 : 그렇다고 자네가 책임을 지고 그만둘 필요는 없으니까.우에하라 : 아뇨. 그럼 다른 사원한테 좋은 본보기가 되지 못하니까요. 責任(せきにん)を取(と)る : 책임을 지다だからって : 그렇다고 해서示(しめし)がつかない : 나쁜 선례가 되다, 좋은 본보기가 되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