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화하면 하루 3명에서 4명 근무로…인력 충원 규모 놓고 대치
철도노조 파업 핵심 쟁점 '4조 2교대제' 어떤 근무인가
철도노조가 20일 결국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노사 간 핵심 쟁점인 '4조 2교대제' 도입과 이를 위한 인력충원 문제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철도(코레일)와 철도노조에 따르면 현재 철도 종사자들의 일반적인 근무 형태는 3조 2교대제다.

단순하게 설명하면 하루 24시간을 3개 조로 나눠 1개 조는 주간, 다른 1개 조는 야간 근무를 하고 나머지 1개 조는 비번인 근무 형태다.

산술적으로는 1개 조가 8시간씩 근무하는 셈이다.

실제 적용은 6일을 단위로 해서 1개조가 처음 이틀은 주간 근무, 이후 이틀은 야간 근무, 나머지 이틀은 비번과 휴무로 쉬게 된다.

4조 2교대제 역시 단순하게 말하면 하루 24시간을 4개조로 나눠, 1개 조가 6시간씩 근무하는 형태다.

아직 고정된 근무체계는 없고, 시범운영 단계다.

4일을 기준으로 4명이 2교대로 주·야간 근무를 하고 2개 조는 비번으로 쉬게 되는 근무 형태 등이 검토된다.

주 52시간제 시행과 철도 안전 강화 차원에서 지난해 철도 노사가 합의한 사안이다.

3조 2교대제를 4조 2교대제로 전환하면 당연히 그에 따른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노조는 3개 조를 4개조로 늘리는 만큼 산술적으로 현재 인원의 3분의 1 수준의 충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여기서 인원 4천600명 충원 주장이 나온다.

노조는 온전한 4조 2교대 개편을 위해 ▲ 기존 3조 2교대자를 4조 2교대로 전환하기 위한 추가인력 3천202명 ▲ 시설분야 일근·야간격일제 등을 4조 2교대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인력 459명 ▲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직원을 4조 2교대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인력 993명 등 모두 4천654명의 충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따라 충원이 필요한 인력이 당초 3천661명에서 4천654명으로 늘었다는 것이다.
철도노조 파업 핵심 쟁점 '4조 2교대제' 어떤 근무인가
하지만 한국철도는 공기업으로서 총인건비 확충이 어려운 만큼 직무진단 용역을 의뢰한 뒤 그 결과를 토대로 1천800명 증원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여기서 추가 인력 관련 입장차가 무려 2천800명 가량 발생하는 것이다.

노조가 4조 2교대 전환을 요구하는 것은 서울지하철공사와 부산지하철공사 등 다른 철도기관들이 이 제도 도입에 합의한 데다, 지난해 6월 오영식 전 한국철도 사장과 맺은 '교대 근무체계 개편을 위한 노사합의서'가 있기 때문이다.

노조는 "합의서에 따라 내년 1월 1일부터 4조 2교대제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인력 충원에 대해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는 단 한 명의 증원도 이야기하지 않고 있으며, 철도공사는 정부의 눈치만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국철도 관계자는 "현재 1천억원가량 적자가 나는 상태에서 대규모 인력충원을 할 경우 적자 폭이 4천억∼5천억원 대로 커질 수 있다"며 "공기업의 방만한 경영사례로 지적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