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작년 1만여명 순 유출…청년 인구 비율도 가장 낮아
도시 성장동력 상실 우려…청년 주도 체감형 정책 사업 필요
청년이 떠나는 부산…좋은 일자리와 주거 안정이 해답
' />

도시 성장 핵심 동력인 청년 인구 유출이 부산의 최대 현안으로 떠올랐다.

20대는 좋은 일자리를 찾아서, 30대는 비싼 집값을 이기지 못하고 부산을 떠나는 것으로 나타나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 작년 1만여명 부산 빠져나가…일자리·주거가 이유
18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청년(18∼34살) 인구는 71만6천여명이다.

부산 청년 인구는 2008년 89만6천여명에서 해마다 2만여명 정도씩 줄어들어 10년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부산이 서울과 광역시 6곳 중 최하위다.

지난해 기준 부산 청년 인구 비중은 20.8%로 전국 평균(21.7%)에도 못 미쳤다.

도시별 청년 인구 비중을 보면 서울이 24.5%로 가장 높고 대전(23.3%), 광주(22.9%), 인천(22.7%), 울산(22%), 대구(21.6%) 순이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 부산에서 다른 도시로 빠져나간 청년 인구는 1만779명이다.

2015년 6천956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2016년 8천648명, 2017년 9천535명으로 늘었다가 지난해에 1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부산을 떠난 전체 인구 중 청년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0.3%에 이른다.

청년들이 부산을 외면하는 이유는 뭘까.

부산시는 20대는 좋은 일자리를 찾아서, 30대는 집값 부담 때문에 부산을 떠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20대는 대부분 서울로 빠져나가지만, 30대는 주거비용을 이기지 못해 부산보다 집값이 싼 경남 양산, 김해, 거제 등지로 떠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청년이 떠나는 부산…좋은 일자리와 주거 안정이 해답
' />

◇ 부산시 탈 청년 관련 다양한 대책…정책 변화 목소리도
시는 전담부서인 청년희망정책과 중심으로 취업 준비와 맞춤형 교육·훈련, 실전 취업, 대학 생활, 창업, 주거 안정, 청년 문화, 기타 등 8개 분야에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청년 지원정책 핵심은 실전 취업과 주거 안정이다.

정규직 전환을 염두에 두고 부산 청년 인재와 지역 유망기업을 연결해주고 일정 기간 인건비를 지원하는 사업들이 눈에 띈다.

온·오프라인에서 취업 정보를 제공하고, 취업역량 강화와 해외 취업을 돕는 사업도 펼치고 있다.

주거 안정 대책으로는 부산 드림 아파트와 부산형 행복주택이 대표적이다.

드림 아파트는 대중교통이 편리한 상업지역에 건축 규제를 완화해 젊은 계층에게 주변 시세보다 싸게 8년간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행복주택도 젊은층에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 임대주택이다.

전체 물량 중 80% 이상을 신혼부부, 사회 초년생, 대학생에게 우선 공급한다.

시는 청년에게 주택 임차보증금 대출과 이자를 지원하고, 1인 가구 청년에게는 월세 1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청년이 떠나는 부산…좋은 일자리와 주거 안정이 해답
부산시가 다양한 청년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다.

부산연구원이 내놓은 '부산 청년 정책 비전 연구'를 보면, 청년 일자리 정책에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다른 부서에서 이미 추진하던 일자리 정책에 청년 일자리 사업이 섞이면서 사업목적이 모호해지거나, 청년 일자리 창출을 추진하는 부서와 실제 사업을 운영하는 부서가 달라 효율이 떨어지고 중복 지원 문제도 불거진다는 것이다.

주거 분야 사업들은 국비 지원 사업이 전체의 90%를 차지하고 대체로 지난해부터 시작된 사업들이 많아 당장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화 분야 취업이나 창업에 쏠린 문화 분야 청년 지원책도 청년들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정책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청년이 떠나는 부산…좋은 일자리와 주거 안정이 해답
◇ 청년 못 잡으면 도시 성장 한계…청년 주도 체감형 정책 펼쳐야
전문가들은 청년 유출은 도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청년 스스로 주체가 돼 청년 정책을 세우고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경옥 부산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 인구 유출을 단순한 숫자로 봐서는 안 되고 청년이라는 미래 성장 동력 상실에 따른 도시 경쟁력 약화에 주목해야 한다"라며 "인구 감소가 가속화 해 부산이 초고령사회로 접어드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위원은 "일자리, 주거, 문화, 참여 등 청년을 대상으로 한 사업들을 행정 중심에서 청년이 주도하는 체감형 정책 사업들로 바꿔나가야 한다"면서 "가칭 부산청년센터를 만들어 운영하고 청년 정책 모니터링단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청년센터는 청년 스스로 정책 수립의 주체가 돼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청년 정책을 기획하고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맡도록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박민성 시의원은 "시가 추진하는 청년 정책이 일자리에 국한돼 있고 부산에만 한정돼 있다"며 "청년이 갖는 미래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 분야를 다양화하고 일자리 정책도 부·울·경 단위로 확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