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대 엔지니어링 전문기업인 지멘스사의 자회사인 지멘스 HTT 사(社)로부터 수주 SK여주 360억, 이천Hynix 356억 2개 프로젝트, 2021년 9월까지 HRSG 단계적 공급
배열회수보일러(HRSG) 모습.S&TC제공.
S&TC는 유럽 최대 발전설비 전문기업 지멘스사의 자회사인 지멘스HTT사와 6165만 달러 규모의 배열회수보일러(HRSG)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S&TC는 2020월 4월부터 2021년 9월까지 단계적으로 국내 SK여주 및 이천Hynix 2개 프로젝트에 HRSG 총 4호기를 공급한다.
SK여주프로젝트는 360억 규모로 1000㎿ 규모의 대형 복합화력 발전소로 주요 기자재인 HRSG 2대에 대한 상세설계 및 기자재 등을 제작하여 납품한다. 이천Hynix프로젝트는 356억 규모로 지멘스HTT가 고객으로부터 작업착수 지시서(wkrdjqckFull Notice of Proceed)를 받은 후 유효하다.
Hynix의 이천, 청주 공장에 신규로 건설하는 각 발전소 500㎿ 규모의 두 개 복합화력 발전소에 주요 기자재인 HRSG 2대에 대한 상세설계 및 기자재를 제작해 납품하는 총 716억 상당의 대형 프로젝트이다.
HRSG는 가스터빈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회수해 증기를 발생시켜 증기터빈을 구동하는 장치다.국내 규모로는 대형 공사 발주에 해당한다.
지멘스는 독일 베를린, 뮌헨, 에를랑겐에 본사를 두고 있는 세계적인 전기전자기업이자 유럽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엔지니어링 회사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공급계약 체결은 S&TC가 설계부터 제작 등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독자 수행할 수 있는 글로벌 기술력을 인정받아 공급한다” 며 “국내 및 세계 발전 시장이 탈원전,탈석탄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많은 복합 화력의 발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는 “이번 수주를 통해 국내 대형 가스터빈을 사용하는 국내 복합 화력 및 해외 복합 화력용 HRSG의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 고 밝혔다.
S&TC는 기단(GYDAN) LNG SNC와 486억8404만원 규모 공랭식열교환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공시했다. 이번 계약금액은 지난해 말 기준 별도 기준 매출액의 34.89%에 해당한다. 계약기간은 2021년 1월4일까지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S&T모티브가 적자를 내던 자회사를 매각했다는 소식에 투자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 판매가 늘면서 실적이 개선되는 가운데 불확실성이 제거돼 주가에 긍정적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2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S&T모티브는 1100원(2.72%) 떨어진 3만9350원에 마감했다. 전날 8.74% 급등한 데 따라 조정받긴 했지만 S&T모티브에 대한 시장 전망은 밝다. S&T모티브가 지난 18일 자회사인 S&TC 지분을 매각했다고 공시한 것이 가장 큰 이유다. S&T모티브는 “사업 연관성이 낮은 비핵심 자산을 팔아 재무효율성을 개선하고 신성장동력 사업을 위한 투자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S&TC는 S&T모티브의 약점으로 거론돼 왔다. 본업인 자동차 부품 사업과 연관성이 낮고, 실적도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S&TC는 지난해 19억원의 영업적자를 내는 등 2년 연속 손실을 봤다. S&T모티브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유지웅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매각으로 S&T모티브는 약 505억원의 현금을 확보하게 됐다”며 “주력 사업인 자동차 부품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자동차 부문 성장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S&T모티브의 영업이익은 771억원으로 전년 대비 37.1%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대·기아자동차의 수소차, 전기차 등 친환경차에 사용되는 모터 매출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2025년까지 총 44개의 친환경차 모델을 출시하고 167만 대를 팔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송선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친환경차 관련 모델 수가 늘고 생산량도 증가하고 있다”며 “자동차 관련 매출이 올해 30%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