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색달1마을 허용한계치에 육박한 8.4㎎/ℓ
농림해양축산위 김현권 의원 "화학비료 사용 줄여야"

상수도를 모두 지하수에 의존하는 제주도의 일부 지역 수돗물에서 질산성 질소가 허용한계치까지 육박해 검출됐다.

질산성 질소는 유기물 중의 질소 화합물이 산화 분해해 무기화한 최종 산물로 상수도에서 그 농도는 유기오염의 지표로 사용된다.

'지하수 의존 100%' 제주, 먹는 물 질소 농도 크게 높아져
국회 농림해양축산위 김현권 의원(더불어민주당·구미을)이 제주도로부터 받은 2017년 1분기부터 2019년 3분기까지 마을 상수도 수질검사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 전체 마을 상수도의 질산성 질소 함유량 평균은 1.25㎎/ℓ에서 1.64㎎/ℓ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용수의 질산성 질소 함유량은 2017년 2.56㎎/ℓ에서 지난해 2.8㎎/ℓ로 늘었다.

올해 3분기 92개 마을 가운데 상수도가 2018년 농업용수 평균 함유량 2.8㎎/ℓ보다 더 많은 질산성 질소를 함유한 마을은 모두 13곳으로 나타났다.

이들 마을 가운데 서귀포시 색달1마을은 질산성 질소 함유량이 먹는 물의 허용한계치인 10㎎/ℓ에 육박한 8.4㎎/ℓ를 기록했다.

이는 2017년 1분기 보다 36%나 늘어난 것이다.

제주시 구좌읍 한동마을이 뒤를 이어 6.7㎎/ℓ를 기록했다.

이밖에 질산성 질소 함유량이 높게 나타난 마을은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1마을 4.2㎎/ℓ, 제주시 애월읍 수산2마을 3.8㎎/ℓ, 서귀포시 신효마을 3.5㎎/ℓ,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마을 3.4㎎/ℓ, 서귀포시 표선면 세화마을 3㎎/ℓ등이었다.

제주도의 비료 사용량은 화학비료와 유기질비료 모두 매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질비료가 늘어나는 만큼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여 질소 과잉에 따른 수질 악화를 방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음식쓰레기와 가축분뇨 재활용을 위한 유기질 비료 공급량이 매년 증가하는 와중에 화학비료 사용량 마저 늘어나다 보니 먹는 물의 질소 농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난해 서귀포시 남원읍의 경우 유기질비료 4만5천792t과 화학비료 1만8천27t이 사용됐고, 서귀포시 동지역에서는 유기질비료 4만2천629t, 화학비료 2만3천994t이 사용되는 등 일부 지역에서는 유기질 비료가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서귀포시 대정읍의 경우 화학비료 3만1천979t과 유기질비료 2만1천944t, 그리고 제주시 구좌읍에선 화학비료 3만3천745t, 유기질비료 2만2천420t이 사용되는 등 일부 지역은 화학비료가 유기질비료보다 많이 쓰였다.

김 의원은 "농지면적은 제한돼 있는데 비료 사용량이 계속 늘어난다면 질소 과잉에 따라 수질이 악화할 수 밖에 없다"면서 "유기질비료보다 화학비료 사용량이 많은 지역에서 화학비료 사용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당근과 채찍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제주도는 처리시설에 대한 단속과 규제를 강화해서 수질오염을 최대한 줄이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올해 도는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 중 고유량·고농도 처리시설 29곳에 대한 점검을 통해 처리기준을 초과한 12곳의 위반사실을 적발하고 개선명령을 내렸다.

이와 함께 도는 양돈분뇨 처리를 위한 정책방향을 액비 살포에서 정화처리로 바꿔 오염원 자체를 줄이거나 없애려 하고 있다.

목초지가 한정돼 늘어나는 액비를 뿌릴 만한 곳이 마땅치 않고 액비가 필요 이상으로 투입될 경우 수질 오염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화를 통해서 아예 오염원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