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 농가 인근 멧돼지 폐사체·이상 개체 발생 확인
환경부 "파주 ASF는 멧돼지에 의한 전파 가능성 희박"
아프리카돼지열병 비상…인천·경기북부 멧돼지 총기포획 금지
경기도 파주시에 이어 연천군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함에 따라 정부가 야생멧돼지 관리를 강화한다.

환경부는 ASF 발생 농가 주변 약 20㎢를 관리지역으로 설정해 멧돼지 폐사체 및 이상 개체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농가와 인접 구릉지 1㎢에 대해서는 출입을 금지하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요청했다고 18일 밝혔다.

또 경기 북부와 인천의 7개 시·군(고양시·파주시·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김포시·강화군)에 멧돼지 총기 포획을 중지하도록 요청했다.

환경부는 "총기 포획 시 총소리에 놀란 멧돼지 이동이 많아져 바이러스가 확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해당 지역에서 멧돼지 이동성 증가와 관련 없는 포획 틀·장을 이용해 멧돼지를 잡는 것은 가능하다.

환경부는 ASF 예방 차원에서 북한 접경과 전국 양돈 농가 주변 지역에 대한 멧돼지 포획 강화 조치를 올해 5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총기 포획 중지 이외 지역에서는 포획 강화 조치를 유지하면서 멧돼지 이동을 증가시키지 않는 포획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파주 시내 동물원 등 포유류 전시·사육 시설에서 방역을 강화했다.

연천 지역에서도 같은 조치가 곧 이뤄질 전망이다.

환경부 비상대응반이 전날 ASF가 발생한 파주 농가 주변을 점검한 결과 야생멧돼지 전염에 의한 발병 소지는 희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환경부는 "해당 지역은 신도시 인근 평야 지대로, 멧돼지 서식 가능성이 작다"며 "임진강 하구 한강 합류 지점과 10㎞ 이상 떨어져 있어 한강을 거슬러 북한 멧돼지가 유입됐을 가능성도 작다"고 밝혔다.

마을 이장도 해당 지역에 멧돼지 활동이 없었다고 환경부에 전했다.

일각에서는 멧돼지 외 야생동물에 의한 전파 가능성도 언급한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이런 사례는 물렁진드기에 의한 전파 외에는 없고, 물렁진드기는 우리나라 멧돼지에서는 발견된 적 없다.

아울러 감염된 야생멧돼지가 없는 상황에서 '육식동물에 의한 2차 감염 가능성'은 비현실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라고 환경부는 전했다.

송형근 환경부 자연환경정책실장은 "현재로서는 발생 농가에서 야생멧돼지로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혹시 있을지 모를 야생멧돼지 ASF 발생에 대비해 야생멧돼지 폐사체 발생 확인과 검사 등을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비상…인천·경기북부 멧돼지 총기포획 금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