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복을 하루 앞둔 10일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7도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질병관리본부는 온열질환에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9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여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전날 기준으로 총 1257명(사망자 7명)으로 집계됐다.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지난달 28일 이후부터 2주 동안 763명의 질환자가 발생했다.온열질환자 10명 중 8명은 실외작업장, 논·밭, 길가, 운동장·공원 등 실외에서 발생했다. 오후(정오∼오후 5시)에 특히 많은 환자가 발생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무더위에는 오후 시간에 외출을 삼가고, 그늘에서 규칙적으로 휴식을 취해야 한다"며 "2인 이상이 함께 건강 상태를 살피면서 근무하고 어지러움이나 두통 등 초기증상이 있을 시 즉시 시원한 곳에서 휴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관계자는 "농사일이나 텃밭을 가꾸는 어르신들은 무더위에는 오전 작업 중이라도 무리하지 말고 작업을 줄여야 한다. 어린이·노약자와 함께 이동할 때는 잠시라도 차 안에 혼자 남겨두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토요일인 10일은 무더위가 전국에서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인다. 서울 낮 최고기온이 최고 37도까지 오르는 등 전국이 맑은 가운데 경기 동부와 강원 영서에는 오후에 곳에 따라 소나기가 내릴 전망이다. 제주에서는 낮부터 비가 내린다. 이날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26.9도, 인천 27.2도, 수원 27도, 춘천 25도, 강릉 26.3도, 청주 26.2도, 대전 26.6도, 전주 26도, 광주 26.2도, 제주 29.3도, 대구 26.1도, 부산 26.1도, 울산 24.4도, 창원 24.2도 등이다.낮 최고기온은 29∼37도.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낮 기온이 33도 이상으로 오를 것으로 예보됐다. 밤에는 열대야도 지속된다. 기상청은 폭염 피해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소나기가 오는 지역에서는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칠 가능성도 있어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비가 오는 지역에서는 가시거리가 짧고 도로가 미끄럽겠다.제주도에서는 바람이 시속 50~60㎞, 최대순간풍속 시속 70㎞ 이상 매우 강하게 부는 곳이 있을 것으로 관측됐다. 그 밖의 지역에서도 시속 30~45㎞의 강풍이 부는 곳이 있겠다.제주도 전 해상과 서해상·남해상에서는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매우 높게 일어 항해나 조업을 하는 선박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제주도와 남해안에서는 너울로 물결이 매우 높아져 방파제나 해안도로를 넘는 곳이 있으니 해안가 안전사고나 해안 저지대 침수피해에 주의가 요구된다.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 0.5∼1.5m, 서해·남해 앞바다 0.5∼3.0m로 예보됐다. 먼바다의 물결은 동해 1.0∼1.5m, 서해 1.0∼6.0m, 남해 1.0∼4.0m로 일겠다.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장마가 지나고 전국적으로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 중이다. 폭염특보는 특정 기준에 따라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로 나눠지는데 주의보는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상태가 이틀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표된다. 폭염경보는 일 최고기온이 35도 이상인 상태가 이틀 이상 계속될 때 나타난다. 즉, 현재 적어도 33도 이상인 날들이 계속 되고 있다는 것. 더워서 발생하는 질병으로는 한진(땀띠)와 열사병, 열경련 등이 있으며 정부 통계에 따르면 7월부터 9월까지 대상포진 환자도 급증한다.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극심한 고통을 동반하기 때문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특히 대상포진을 앓고 난 이후나 증세가 진행되는 도중에 람세이헌트증후군이라는 안면신경마비가 발현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폭염 관련 질환들이 발생하는 이유로는 고온다습한 외부 환경 문제도 있지만 면역력이 약해진 탓도 있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주기적으로 서늘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며 호흡하기 편안한 복장을 입는 것은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며, 여기에 더해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주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매일 섭취하는 것도 필요하다. 대원제약이 선보이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장대원 네이처 플러스/키즈'는 면역력 증대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농림축산식품부 유기농 인증까지 받았다. 실제로 장대원 네이처 플러스(성인용)와 키즈(어린이용) 패키지 겉면을 보면 국가에서 부여하는 유기농 인증 마크를 확인할 수 있다. 장대원 네이처 플러스는 95.15%, 장대원 네이처 키즈는 95.00%의 유기농 부형제를 사용했다. 두 제품 모두 합성감미료 ▲합성향료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이산화규소 ▲HPMC 등 5대 화학첨가물을 함유하지 않았다. 또한 최근 프로바이오틱스가 안정적으로 장내 생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리바이오틱스도 들어 있으며, 균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균주인 L rhamnosus GG와 세계 3대 유산균으로 불리는 캐나다 로셀(ROSELLE)사의 것을 사용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