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경상남도, 울산시의 동남권 3개 시·도의 협력이 올 들어 공동사업을 형성하면서 새로운 협력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3개 시·도는 경남에서 출발해 ‘한뿌리’ 세 가족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협력은 되지 않았다. 시·도지사 협의회와 실무진 협력 회의를 수십 차례 열었지만 경남에서 물을 부산으로 끌어오는 문제 등 제대로 된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했다. 하지만 3개 시·도지사가 함께 뭉치면서 시너지를 올릴 것으로 전망되는 사례들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협력 사례는 부산시와 경상남도가 지난 3일 체결한 부산항 제2신항의 위치를 경남 창원시 진해방면에 우선 건설하기로 한 것이다. 제2신항이 2040년 완공되면 부산항 신항 전체 규모는 57선석으로 늘어나고 이 중 경남에 37선석, 부산에 20선석이 자리잡는다. 부산항 신항에서 경남의 지분권이 급상승한 셈이다.

부산시는 항만을 경남에 양보한 대신 김해신공항의 강력한 지지원을 확보했다. 부산시는 경상남도, 울산시와 함께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김해신공항을 폐기하고 다른 안전한 공항을 만들어야 한다는 뜻을 끌어내 국토부와 국무총리실에 가덕신공항 건설을 촉구하고 있다. 항만업계에선 세계 6위의 컨테이너 항만 부산의 위치가 경남으로 분산되고 오히려 경남이 국내 최대의 항만도시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불만도 있지만 정부의 조속한 건설 지원과 동북아 컨테이너 항만의 지위를 부산과 경남이 함께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잘 된 판단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부산시와 울산시가 2400억원이 투입되는 국내 첫 원전해체 연구소를 공동 유치한 점도 성과로 꼽힌다. 원전해체연구소를 부산과 울산 접경지역에 짓기로 정부에 제안서를 넣은 것 등이 다른 경쟁지역보다 높은 점수를 받아 낙점을 받았다. 조선과 자동차산업이 추락하고 있고 이 두 산업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원전해체산업에 도전해 새로운 먹거리를 확보했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고 부산·울산시는 보고 있다. 방사능 논란으로 가동 중단됐던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의 경우도 부산시와 환경부 수자원공사, 두산이 합의해 울산지역 산업단지에 담수화 수돗물을 100% 맞춤형 산업용수로 제공하기로 합의하면서 일단락됐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