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10년새 연령대별 고용분석 "청년고용 향후 몇년이 고비"
2009년 금융위기 이후 20대만 고용 회복 못했다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바닥을 친 고용률이 지금까지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왔지만 유독 20대 연령층만 아직도 금융위기 당시의 고용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청년층 고용 부진은 특히 장기 빈곤계층으로 이어질 수 있어 국가적 복지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연구원은 6일 '최근 연령대별 인구의 변동과 산업별 고용 변화' 보고서에서 10년새 50대와 60세 이상 연령대의 고용률이 가장 빠르게 상승하고 그 다음으로 30대와 40대가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온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20대 연령층의 고용률만 하락세를 보였다며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청년고용 대책을 촉구했다.

고용률은 취업자 수를 생산가능인구로 나눈 값으로, 20대 청년층의 월평균 고용률은 지난해 1∼10월까지 57.8%로 2009년 고용률 수준보다 0.6%포인트 밑돌았다.

고등교육기관 진학률이 2010년을 정점으로 완만하게 내리막인 점을 감안하면 대학원 등에 진학하느라 청년고용률이 오르지 않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지난해 20대 생산가능인구는 695만2천명으로 저점을 찍은 2013년보다 26만5천여명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은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인 에코 세대의 청년층 진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주요 산업별 20대 취업자수 변화를 보면 제조업의 경우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2만6천명 감소하면서 연평균 1.4% 떨어진데 반해 같은 기간 건설업은 3만6천명 증가로 연평균 10.6% 올랐다.

20대의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는 제조업에서 조선업 구조조정과 자동차산업 부진, 서비스업에서 수요침체에 따른 반사이익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최근 건설업 신규투자 저조로 이런 추세마저 지속되기 쉽지 않다.

보고서는 "청년층 고용부진은 전반적으로 우리 경제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떨어지고 인구학적으로도 에코세대가 20대에 진입하면서 상황이 더 악화된 것"이라며 "에코세대가 대학을 졸업하고 노동시장에 본격 진입하는 향후 몇 년까지가 청년고용의 중대 고비"라고 말했다.
2009년 금융위기 이후 20대만 고용 회복 못했다
이어 "노동시장에 대한 적절한 정부 대책 부족으로 청년 시기 학교에서 노동시장 진입에 실패하면 장기적인 빈곤층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는 개인적인 불행일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경제성장의 저하 및 복지 부담의 가중이라는 점에서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20대와 달리 30대는 상대적으로 좋은 고용률을 보이나 취업자 증가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생산인구 감소 영향이 컸다.

또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30대 취업자 수는 제조업의 경우 연평균 2.8% 감소해 최근 제조업 불황과 구조조정 여파가 30대에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0대는 소폭 상승 추세이나 취업자 수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최근 고용 부진이 두드러졌다.

작년 10월까지 자료 기준으로 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전년대비 10만1천명 감소해 40대 고용감소 11만1천명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서비스 세부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전년대비 6만6천명, 교육서비스업이 2만7천명, 운수 및 창고업이 2만4천명 각각 감소했다.

50대는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등 세 산업 모두에서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 1.2%를 웃도는 취업자 수 증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건설업의 경우 3.5%의 높은 성장을 이뤘다.

60대 이상은 베이비붐 세대 진입으로 고령층 인구가 증가하고 건강상태가 개선되면서 제조업과 건설업의 경우 인구 증가율을 추월할 정도로 빠른 취업 증가세를 보였다.

60대 전반기 고용률은 60%에 육박, 20대 고용률(57.8%)보다 1.6%포인트 높았다.

산업연구원 김주영 연구위원은 "20대 에코세대로 인한 생산가능 인구의 증가라는 새로운 변화와 경제의 허리인 40대 서비스 업종에서의 취업자 수 감소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제조업 경쟁력 회복과 고부가가치 서비스 시장 육성을 통한 서비스업 부문의 고용역량 강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