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를 보면 주인공 프레디 머큐리가 에이즈 진단을 받는 장면이 나옵니다. 마침 TV에서는 에이즈 환자들의 모습이 비치면서 현재로선 치료 방법이 없다는 뉴스가 나오죠. 록그룹 퀸의 리드 싱어였던 머큐리는 1991년 11월23일 에이즈 투병 사실을 발표한 다음날 사망합니다. 에이즈에 걸리면 피를 토하고 온몸이 썩어들어가면서 서서히 죽는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었죠.그런데 이런 생각을 완전히 바꾼 사람이 있습니다. LA레이커스의 전설적인 가드로 이름을 날린 농구 선수 매직 존슨입니다. 머큐리가 사망하기 2주일 전 에이즈 감염으로 은퇴를 선언한 그는 27년이 지난 지금도 생존해 있습니다. 조기 진단을 받은 데다 여러 가지 약물을 사용해 내성을 막는 데 성공했기 때문입니다.지금은 하나의 알약에 여러 가지 성분을 넣은 복합제가 나와 에이즈 치료에 새 국면이 열렸습니다. 예전엔 내성이 생기면 약을 계속 바꿔야 하고 한번에 많은 약을 먹어 부작용이 심했지만 이제는 이런 문제점을 개선한 약물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이 국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 시장의 60%를 장악하고 있는 길리어드의 ‘젠보야’(사진)와 GSK의 ‘트리멕’입니다. 젠보야는 길리어드가 ‘스트리빌드’의 후속 제품으로 내놓은 약물인데요.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푸마르산염(TDF) 대신 테노포비르 알라페나미드(TAF)라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TDF는 길리어드의 B형 간염 치료제 ‘비리어드’의 성분으로, TAF는 ‘베믈리디’로 잘 알려져 있죠. TAF는 TDF 대비 10분의 1의 용량으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이는 약물입니다. 다른 약물을 사용한 경험이 있어도 효과를 보이고 신장 뼈 등과 관련된 부작용을 개선해 최근 시장 점유율이 급증했습니다.올초에는 길리어드의 ‘트루바다’라는 약물이 HIV-1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약물로 허가받았습니다.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이 사전에 약을 먹으면 바이러스 증식을 막을 수 있는데요. 에이즈도 예방이 가능한 시대에 접어든 셈입니다. 이 외에도 데스코비, 키벡사 등 국내 출시된 HIV 치료제는 10개가 있습니다. 환자 특성에 따라 약물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치료제의 진화로 에이즈는 당뇨병, 고혈압처럼 평생 약을 먹으면서 관리할 수 있는 단계까지 왔습니다. 걸리면 무조건 죽는 병은 아니라는 얘깁니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한 번 복용으로 완치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는 겁니다. 암을 치료하는 세포, 유전자 치료제도 개발되고 있으니 언젠가는 에이즈를 정복하는 날이 오겠죠.ace@hankyung.com
카이노스메드는 중국으로 기술 이전한 에이즈치료제가 중국 임상 3상에 돌입했다고 30일 밝혔다. 카이노스메드는 2014년 중국 제약사 '장쑤 아이디'로 에이즈치료제 후보물질 'KM-023'을 기술수출했다. 중국 식품의약품안전처(CFDA)로부터 최근 임상 3상을 허가받아 연구개발에 들어갔다. CFDA는 지난해 에이즈치료제 개발의 시급성 등을 고려해, KM-023을 우선 심사대상으로 선정했다. 임상 1상 결과를 분석한 결과 치료제로서의 효능을 인정해 임상 2상 없이 임상 3상을 허가했다. 임상 3상은 중국 현지 에이즈 환자 600명을 대상으로 1년간 진행된다. 임상 3상에서는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의 억제 효과와 약제 내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병행복합치료제 효능을 확인할 예정이다. 한국화학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한 KM-023은 비핵산 역전사효소 억제제다. 기존 에이즈치료제에 비해 중추신경 부작용이 적고 항바이러스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국의 에이즈환자는 현재 100만~200만명으로 추산된다. 단일국가 대비 환자수가 가장 많아, 최종 판매 승인 시점이 앞당겨 질 것으로 회사 측은 보고 있다. KM-023의 중국 판권은 장쑤 아이디가, 글로벌 판매권은 카이노스메드가 보유중 이다. 에이즈치료제의 세계 시장 규모는 현재 16조원 규모로 추산되고 있다. 이기섭 카이노스메드 대표는 "이번 임상 3상 결과를 토대로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며 "우리 에이즈 치료제가 상용화될 경우 향후 중국은 물론 세계 제약회사들로부터 상당한 로열티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동아쏘시오홀딩스의 계열회사인 에스티팜은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치료제 신약후보물질인 'STP03-0404'가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연구프로젝트 지원사업(R01) 과제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에스티팜은 미국에서 에모리대의 김백 교수팀과 새롭게 확인된 STP03-0404의 작용기전 확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연구팀은 NIH로부터 향후 5년간 약 139만달러(15억7800만원)를 지원받을 예정이다.현재 에이즈치료제로 사용되는 역전사효소 저해제,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는 부작용과 약물상호작용, 약제내성발현 등의 문제로 사용에 제한이 있다. 최근 이를 개선한 촉매활성 부위 인테그라제 저해제가 개발됐지만, 약제내성 발현문제가 나타나면서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설명이다.STP03-0404는 촉매활성 부위가 아닌 비촉매활성 부위에 작용하는 HIV 인테그라제 저해제다. 약제내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로 기대되고 있다. 새로 확인된 작용기전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viral RNA)을 단백질막 밖으로 빼내, 숙주세포에서 재발현될 수 있는 HIV의 기능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에스티팜은 2014년부터 한국화학연구원의 김봉진·손종찬 박사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STP03-0404를 도출했다. 2016년 9월 한국화학연구원으로부터 기술이전 받아 국내외 특허권과 독점개발권을 확보했다.회사 관계자는 "HIV 치료제 개발로 에이즈가 만성질환으로 분류되는 발전이 있었으나, 여전히 근본적인 치료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NIH의 지원으로 진행될 신규 작용기전 공동연구는 HIV감염 완치를 위한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스티팜은 내년 글로벌 임상을 목표로 현재 국내에서 STP03-0404의 전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