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농정분야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모델인 논밭에 대한 가뭄 위험정보를 본석해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선보인다고 21일 발표했다. 이 시스템 구축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가뭄 취약지역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도는 36000만원의 예산을 들어 올 연말까지 화성, 안성, 평택, 이천, 여주 등 5개시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기반 가뭄피해 예측 시스템을 시범 구축한다.

도는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도의 농업용수 공급분석 및 가뭄위험 예측과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18 정부의 빅데이터 플래그십 기획·검증 공모사에 선정돼 18000만원의 국비를 받았다. 여기에 도비 18000만원을 추가해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고 설명했다.

도의
농업용수 공급분석 및 가뭄위험 예측시스템은 지도기반 서비스에 관정, 저수지, 양수장 등 각종 수자원 정보와 기상정보를 연결한 후 가뭄 예측모형을 통해 가뭄취약지역을 분석해 주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선정하면 그 주위에 있는 수자원 시설의 용수공급 능력과 지역 기상정보 등을 종합해 가뭄취약여부를 알려주게 된다
.


도는 이번 빅데이터 분석사업 결과가 가뭄대응 능력 향상은 물론 농정분야 정책수립과 현황 파악
, 개선사항 발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가뭄취약지역 분석을 통해 긴급 관정 설치, 임시 양수장 운영 등 가뭄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농업필지 인허가, 경지 별 재배 작물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종서 도 빅데이터담당관은
이번 사업으로 경기도가 농정분야 4차 산업혁명에 새로운 모델을 만들게 됐다면서 “5개시를 대상으로 우선 시범 추진한 후 내년부터 도 전역으로 사업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수원=
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