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갑영 전 연세대 총장은 “한국 대학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새로운 교육모델을 시도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취임 다음해인 2013년 연세대 신입생 전원을 대상으로 RC(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정갑영 전 연세대 총장은 “한국 대학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새로운 교육모델을 시도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취임 다음해인 2013년 연세대 신입생 전원을 대상으로 RC(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한국 대학이 사면초가(四面楚歌)에 처했다.’

국내 고등교육의 위기를 말하는 목소리가 높다. 안으로는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를 마주하고, 밖으로는 해외 유수 대학들과 인재유치 경쟁을 벌여야 한다.

정갑영 전 연세대 총장(67)은 2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2012년 총장에 취임했을 때 ‘연세대의 생존법은 뭘까’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아이비리그 등 해외 대학 총장들을 ‘취재’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렇게 얻은 해법은 ‘RC(Residential College)’라는 새로운 교육모델이었다.

그는 “미국 하버드대, 예일대, 영국 옥스퍼드대 등 30여 개 유수 대학은 모두 RC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라며 “한국이 뒤처져선 안 된다는 위기를 느끼고 2013년 송도캠퍼스에 RC를 도입했다”고 했다.

RC는 학습과 생활을 통합하는 공동체 교육이다. 집에서 통학하는 대신 일정 기간 캠퍼스에 거주하며 강의, 봉사활동 등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정 전 총장은 “연세대에서 5년여간 RC가 성공적으로 자리잡는 걸 본 다른 대학들의 관련 문의가 적지 않다”고 했다. 이에 RC ‘창립멤버’들과 RC 도입 과정 및 노하우를 정리한 책 《미래 인재와 대학 혁신》을 지난 19일 출간했다.

시작은 순탄치 않았다. ‘RC가 대체 뭐냐’ ‘대학을 기숙학원으로 만드는 거냐’는 질문이 쏟아졌다. 정 전 총장은 “학생들과 수차례 ‘끝장 토론’을 벌여 설득했다”며 “RC 목적은 학습량만 늘리는 게 아니라 통합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

RC에서는 3명의 학생이 기숙사 1실을 함께 쓴다. 3명이 생활할 때 사회성이 가장 좋아진다는 해외 연구 결과를 반영했다. 유학생 등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면서 갈등을 조율하는 법을 배운다. 그는 “초창기 누구라고 하면 알 만한 집에서 총장실로 전화가 와 ‘우리 애는 살면서 누구랑 방을 같이 써본 적이 없으니 독방을 달라’고 요구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단호히 거절했는데 한 학기가 지난 뒤 ‘아이가 공감·소통능력이 눈에 띄게 좋아졌다’면서 고맙다고 하더라”며 웃었다.

정 전 총장은 “집과 강의실을 오가는 ‘셔틀 에듀케이션(shuttle education)’으로는 소통하고 협력하는 글로벌 인재를 키울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물론 통학시간이 절약되니 자연스레 학습량도 늘었다. 연세대 자체 설문조사 결과 재학생의 평균 통학시간은 1.6~1.7시간에 달한다.

대학이 스스로 변화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각종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이 ‘아시아 교육허브’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각 대학이 특성화한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며 “정부 재정 지원을 받지 않는 대신 등록금 책정 및 학생 선발에서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주는 ‘자율형 사립대학’을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