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독도, 세계사’. 국정 역사교과서와 기존 검정교과서의 차이를 보여주는 핵심 키워드다. 특히 북한에 대해선 3대 세습, 핵개발, 천안함 공격 등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분량 면에서도 두 배가량 더 할애했다. 편찬 기준에 들어 있는 ‘통일시대를 준비한다’는 표현과 모순될 정도로 지나치게 북한을 ‘주적’ 관점에서 서술했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국정교과서는 ‘북한의 3대 세습 독재 체제와 남북한 관계’라는 별도 소단원 아래 김일성 독재 체제 구축, 3대 세습 체제 형성, 탈북자와 인권·이산가족 문제, 북핵 위기와 북한의 대남 도발, 평화 통일의 노력 등 5개 주제를 자세히 다뤘다. 4페이지 분량이다.

북한 인권에 대한 비판적 기술도 늘었다. ‘천안함 사건’도 책임 주체를 명확히 했다.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전 고려대 한국사학과 명예교수)은 “북한의 실상을 정확하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독도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 기술도 강화됐다. 독도 영유권 주장을 강화한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역사 왜곡에 맞서 독도 문제를 상세히 다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학교 역사’에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주제 중심으로 통합 구성한 점도 눈에 띈다. 교육부 관계자는 “시대별로 세계사를 먼저 배치해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의 역사를 함께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