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시티 비리 의혹 사건과 관련 특혜대출 의혹을 받는 BNK금융그룹 부산은행이 엘시티 시행사 설립 때부터 발을 들여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지금까지의 대출 과정에 석연치 않은 점들이 속속 불거지고 있다.

18일 엘시티 더샵 시행사인 엘시티 PFV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행은 2008년 엘시티 PFV가 출범할 당시 대주주로 참여했다.

출범 당시 엘시티 PFV 주식은 모두 600만 주(액면가 5천원, 총 300억원)였다.

이젠위드 37%(222만 주), 강화 25%(150만 주), 에코하우스 24%(144만 주), 아시아엘에스디엔씨와 부산은행이 각 6%(각 36만 주), 기타 주주 2%(12만 주)의 지분 분포를 보인다.

부산은행 측은 이에 대해 "법인세법 시행령에 따라 PFV 사업은 제1금융권이 5% 이상 지분으로 참여해야 성사된다"라며 "엘시티 사업지가 부산은행의 주력 영업구역으로 향후 금융지원 참여 기회 확보 등의 목적으로 엘시티 PFV 출범 시 참여한 것으로 안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소매금융에 주력하면서 건설 관련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영업에는 극히 보수적이었던 부산은행이 수익성이 불투명했던 수조원짜리 초대형 건설사업에 대주주로 발을 들여놓은 배경을 놓고 온갖 억측이 일고 있다.

특히 엘시티 사건의 핵심인 이영복 회장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전해진 전 부산은행 고위 임원이 엘시티 PFV 출범 당시 부산은행의 최고위직을 맡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져 논란이 더해지고 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지난해 9월 부산은행과 메리츠종합금융증권을 비롯한 15개 대출금융기관이 엘시티 PFV와 '해운대 LCT 관광 리조트 개발사업 프로젝트 금융 대출약정'을 체결하기에 앞서 부산은행이 엘시티 PFV에 소위 브릿지론이란 명목으로 3천800억원이란 거액을 앞당겨 지원한 것도 특혜성 대출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부산은행은 엘시티 PFV가 2008년 부지 매수 등을 위해 군인공제회에서 빌린 돈을 담보도 없이 2014년 10월 대신 갚았다.

부산은행 또 지난해 9월 대출약정 당시 트랑쉐 A(아파트), 트랑쉐 B(수익형 콘도인 레지던스) 외에 수익성이 불투명해 다른 금융기관들은 꺼렸던 트랑쉐 C(아파트와 레지던스를 제외한 상가 등 비주거시설)에 단독으로 약정을 맺고 지금까지 2천3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집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랑쉐란 금융기관이 개별 대출을 모아 이를 기반으로 다시 발행한 채권을 의미한다.

부산은행 외에도 지난해 9월 대출약정을 맺고 엘시티 PFV 사업에 투자한 15개 금융기관(펀드 포함)은 엘시티 사건의 불똥이 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이들 금융기관이 약정대출한도는 총 1조7천800억원이며 현재까지 대출된 돈은 8천500억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연합뉴스) 신정훈 기자 s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