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표=환경보건시민센터)

가습기살균제 사망 피해신고가 1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이달 14일까지 접수된 피해신고는 총 4893명으로 이중 사망자는 1012명으로 파악됐다. 전체 피해 신고의 20.7%에 달하는 수치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이달 집계만으로도 전체 피해신고가 5000명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정부의 공식 피해접수기관인 환경부 산하 환경산업기술원이 국회에 보고한 피해현황에 정부가 그동안 모니터링 대상에서마저 제외한 판정이후 사망한 4 단계 피해자의 현황을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종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전체 피해신고의 74%가 올해 들어 4월 26일부터 10월 14일까지 6개월여 동안 이루어졌다. 사망신고도 10명중 8명 꼴인 77%가 올해 발생했다고 환경보건시민센터는 그 근거를 들었다.

신고된 피해자들에 대한 정부의 조사도 전체 신고자 4893 명 중 14%인 695명에 대해서만 이루어졌다고 환경보건시민센터는 덧붙였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협소한 판정기준에 의한 판정결과도 심각한 문제라고 꼬집었다.

“정부는 조사초기의 폐섬유화를 중심으로 하는 제한적 임상적 경험만을 판정기준으로 삼고있고 추가적인 건강영향에 대한 조사연구를 하지 않다가 최근에서 ‘폐이외 건강영향연구’를 시작했다. 이 때문에 판정된 695명의 37.1%인 258 명만이 ‘관련성 확실’인 1 단계와 ‘관련성 높음’인 2단계 판정을 받아 정부지원 대상에 포함되었고, 나머지 절반이 훨씬 넘는 62.9% 437 명은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하고 사실상 ‘가습기살균제를 사용도 하지 않은 무관한 사람들’로 취급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1차적인 가해자인 기업이 전혀 피해신고 및 지원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고, 정부가 소극적인 태도로 수수방관하면서 가습기살균제 피해문제는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것”이라는 비난도 이어졌다.

이어 “재벌기업과 다국적기업 그리고 김앤장과 대학전문가들이 주범과 공범이며 역대정부의 여러 부처에 책임이 큰 희대의 참사는 국민의 대의기구인 국회가 충분한 시간을 갖고 국정조사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곽경민 한경닷컴 연예·이슈팀 기자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hub@hankyung.com